Untitled


2일 1챕터씩 24.02.21 (수) 1장부터 시작 (넉넉하게 3월까지 생각중) 서로 정리한 내용 공유 및 이야기 (최대 30분 - 시간날때 프리하게) 구글링 해서 찾아본 내용이 있다면 공유. (링크만 공유해도 됨)


타입을 캡슐화하고 낮은 의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다양한 기법들이 필요하다 챕터 6에서 살펴본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들을 적용하면 구현을 효과적으로 캡슐화하는 코드를 구현할 수 있다. 챕터 8,9장에서 설명한 의존성 관리 기법은 타입을 캡슐화하기 위해 낮은 결합도를 유지할 수 있는방법을 보여준다. 타입을 캡슐화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코드 재사용을 위해 상속을 사용하고 있다면 10장을 주의깊게 살펴보자. 상속 대신 11장에서 설명한 합성을 사용하는 것도 캡슐화를 보장하는 훌륭한 방법이며, 13장에서 설명한 원칙을 따르면 LSP준수하는 타입 계층을 구현하는 데 상속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ch01 객체, 설계

ch02 OOP

ch03 역할, 책임, 협력

ch04 설계 품질과 트레이드오프

ch05 책임 할당하기

ch06 메시지와 인터페이스

ch07 객체 분해

ch08 의존성 관리하기

ch09 유연한 설계

ch10 상속과 코드 재사용

ch11 합성과 유연한 설계

ch12 다형성

ch13 서브클래싱과 서브타이핑

ch14 일관성 있는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