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19 : Study Python [문자열, 리스트(배열)]
re.split()
, re.search( ),split()
→ 리스트 반환,filter()
→ 이터레이터 반환 → list()로 형변환 필요‼️, 이터러블과 이터레이터란 정수형 배열의 원소만큼 추가하고 싶다면? → [ ] 리스트로 원소만큼 늘려서?! extend()로 하나씩 저장하기! ✅ , 2중 for문의 동작 과정
✅ Python zip
& 슬라이싱 주의사항
zip
으로 같은 길이의 리스트 묶기, 뒤에서 a
개 제거하기 → answer = answer[:-a]
or pop()
n이 정수일경우extend()
는 [n]
처럼 리스트로 감싸줘야 함
extend() 는 이터러블만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set() 는 list()로 형변환을 해서 가져오자! 또한 순서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dict.fromkeys()를 사용!!
Day 20 : Study Python [함수(메서드)]
파이썬에서 리스트 + 리스트는 문자열 + 문자열처럼 동작! → 리스트의 이어 붙이기!
- ex)
- extend() 와 차이점 ,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 불가!!
- 튜플 비교를 이용하여 더욱 간단해진 코드
- 튜플 동작 과정
Counter() 란? →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딕셔너리처럼 key-value 구조]
for i in strArr: length = [len(i)] 👇리스트 컴프리헨션으로! length = [len(i) for i in strArr]
리스트 컴프리헨션시에 for문 위치 → [ True 일때의 반환 값 if (조건{or, and 사용}) else False 일때의 반환 값 for i in enumerate() 등! ]
Day21 : Study Python [함수(메서드)]
중요!
1️⃣ 언패킹에서
_
사용하는 방법2️⃣ 리스트 컴프리헨션으로 값 뽑기
3️⃣
append()
에 값이 여러 개일 경우4️⃣
sort()
vssorted()
5️⃣ 종합 예시
int()
=math.trunc()
,math.floor()
->import math
후에 사용!하나의 문자열도 for 문을 돌리면 한 자리씩 분리됨!
sum(map(int, num_s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