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잘한 점 ]

꼼꼼히

짝설계 직전에 약간의 걱정과 이번주는 개념을 꼼꼼하게 하자고 다짐했기에, 개념 공부를 철저히 했다. 그래서 큰 설계가 끝난 후에도 슬랙을 들락날락하면서 구현 ↔ 설계를 왔다갔다 했다. 결론적으로는 마지막에 설계의 결함을 발견하긴 했지만… 나름의 설계와 구현 결과, 테스트를 낼 수 있었고, 다른 분들과 어느정도의 이론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 지난주의 회고와 이번주 체크리스트를 기반해서… 확실히 결과보다 과정에! 그리고 학습에! 좀 더 비중을 만들어가고 있는게 느껴졌다!

이론에 대충 틀이 잡히는 것 같아서 잘 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이다!

[ 아쉬운 점]

개념

나름의 개념을 끝내긴 했지만.. 나의 주장을 자신있게 내놓기에는 부족하다는 생각을 슬랙에서 채팅하면서 많이 느꼈다. 얘기를 꺼낼 때 이게 맞나? 라는 의문이 들기도 하고, 구현을 하다가도 이렇게 구현하면 내가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제대로 한건가? 라는 의문이 들기도 했다. 이건 아직 개념에 대한 이해는 됐으나 내것이 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다.. 개념을 공부하고 내것으로 만들기까지! 주말에라도 더 시간을 써야겠다!!!

테스트와 검증

마지막으로 코드 검증을 해보는 과정에서 linkedlist 설계를 갈아엎어야 하는 점을 발견했다. 종종 모든 구현과 테스트가 끝나고 설계의 문제점을 찾는 일이 발생하는 것 같았다. 설계 검증을 완벽하게 넘어갈 수 있기 전까지는 앞단계에서 여러번 해줘야겠다…

[ 느낀점 ]

짝 설계

편하게 생각거리를 던져주시고, 궁금점과 생각을 잘 들어주셔서 굉장히 편하게 진행할 . 수있었다. 😆 중간중간에 둘 다 어려운 내용에 대해서는 슬랙에 질문을 남겨보기도 했다. 이번에는 줌을 통해서 짝 설계를 진행했는데, vscode의 live 기능과 zoom의 화이트보드를 활용했다. 오 새로운 도구를 써봤는데, 확실히 저번보다 편했다. 지난번 짝 설계를 하면서 잘 진행했는데도 불구하고 진행 과정에서 “내가 많이 부족하면 어떡하지”에 대한 걱정이 살짝 있어, 시작 전에 꼼꼼하게 공부를 한 것 같다. 확실히 긴장을 덜 할 수 있었다.

빠르게 설계를 끝내고, 계속해서 구현을 하면서 수정사항이나 새로운 시각이 있으면 서로 슬랙 DM을 통해 대화를 나누었던 것 같다. 어제 말한 에자일 방법론이 이거일까.. 싶기도 했는데, 구현 ↔ 설계 수정을 좀 많이 왔다 갔다 했던 것 같고, 설계가 끝난 후에 구현 ↔ 테스트간의 왔다갔다는 적었다.. 그래서 구현이 빨리 끝나고, 테스트에서 수정 사항이 좀 생겼다 😂 앞으로는 구현 ↔ 테스트 간의 연결 관계도 활성화 시키고 싶다‼️

슬랙 허들을 통해서 지난번 day6에 대화를 나누었던 캠퍼분과 나름 피어세션을 해봤다 😆

각자 설계 방식이나 해설,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뭘까.. 미션 관련된 내용과 챌린지 과정에 관련된 잡담을 나누었는데, 확실히 채팅으로 대화를 나누다가 실제 허들로 대화하니까 쾌적하게 생각을 공유할 수 있었다. 물론 미션 초장부터 대화를 나누면, 서로의 생각 방향을 좁히거나 나름의 경험을 헤칠 수 있을 것 같지만 이렇게 미션이 좀 정리가 되고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가져보니 좋았다.

지금까지 챌린지 기간을 통해, 내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서 나의 생각을 정립하는 과정을 배운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