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 회의
1. 프로젝트 기획 방향 논의
- 필수 구성 요소: 프로젝트 목표, 데이터 EDA·전처리, 캠페인 설계 및 실행안, 성과 해석 및 개선안
- 주체 설정 문제: 우리 팀이 직접 브랜드나 플랫폼을 운영하지 않기 때문에 광고 집행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우려 제기.
- 아이디어 구분
- (1) 기존 플랫폼 기반 분석: 무신사, W컨셉 등에서 인기 상품 데이터를 크롤링해 트렌드 분석 및 예측
- (2) 신생 브랜드 문제 해결: 의류 제작 단가·패턴 비용 등 현실적 어려움 → 이를 바탕으로 캠페인 설계 가능성 검토
2. 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 크롤링 대상: 고객 리뷰, 인기 상품, 댓글 등을 통한 트렌드 파악 및 소비자 불편 요인 분석
- 세그먼트 분석: 패션 소비자를 유형별로 나눠 행동 패턴 차이를 파악 (트렌드 추종층, 가격 민감층 등)
3. 캠페인 실행 주체 논의
- 실제 협업 기업 접촉: 소규모 의류 브랜드나 가게와 협업 시도 → 현실적이나 시간 제약과 불확실성 존재
- 가상 브랜드/플랫폼 설정:
- 장점: 광고 및 KPI 설정(페이지 유입, 클릭, 회원가입 등) 측정이 쉬움
- 단점: 가짜 브랜드/플랫폼 제작 시 콘텐츠 및 사이트 구축에 시간 소요
4. B2B vs B2C 고민
- B2B(의류 유통): 이메일·CRM·웹사이트 중심, 리드 타임 길어 단기 성과 측정 어려움
- B2C(소비자 대상): 인스타그램·틱톡 등 광고 집행 용이, CTR·전환율 측정 가능 → 단기간 프로젝트에 적합
5. 주제 후보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