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민족, 요기요 등록 음식업체를 <네이버지도>서 검색/주문 연결
기능 시나리오
- 사람들은 가고 싶은 장소를 네이버맵, 카카오맵, 구글맵에서 검색한다.
- 이에 네이버맵에서는 각종 장소의 위치 정보 뿐아니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테면, 리뷰, 블로그리뷰 외에도
예약, 픽업주문, 배달 기능을 제공한다.
- 네이버맵에서 위 기능을 제공하는 POI에는
소상공인 상점(-네이버에서 제공하는 포맷 사용)도 있지만
플랫폼 기업도 있다. 이를테면, 배달의민족, 요기요
- 배달의민족과 요기요는 앱 내에서
내근처 먹거리 정보 제공/검색 - 결제 - 배송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중 '먹기 정보 제공/검색'은 네이버지도에서 가능하도록 해당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때 '배달 주문'을 클릭하면 배달의민족 또는 요기요로 서비스 전환이 일어난다.
배달의 민족





요기요





How?
- 각 업체는 배달 플랫폼(배달의 민족, 요기요) 사장님 사이트에서
[제3자정보제공]을 통해 네이버 스마트플레이스 노출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 배달 플랫폼은 메뉴명, 메뉴 사진, 가격 정보를 제공하고,
배달비는 메뉴에 따라 달라질 경우, 최고 금액을 기준으로 표시한다(~4900원)
- 네이버는, 네이버 아이디에 등록된 지도, 전화번호를 배달 플랫폼에 제공한다.
- 배달 플랫폼에서는, 배달앱에 가입하지 않더라도, 배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이때, 배달앱에 가입되어있지 않은 유저가 인입한 경우 '가입 유도 마케팅 팝업'을 노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