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란체스코 수도회 수도자들은 도미니코 수도회 수도자들 보다는 덜하지만 정통 그리스도교 신앙을 지켰다.
- 두 수도회 사이의 경쟁이 치열해서 프란체스코 수도회 수도자들은 성 토마스의 권위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 프란체스코 수도회 철학자들 가운데 중요한 세 사람은 로저 베이컨, 둔스 스코투스, 오컴의 윌리엄.
- 로저 베이컨은 수학과 과학에 대한 열정을 지닌 만물박사였음.
- 로저 베이컨은 백과사전적 지식의 소유자였으나 체계성은 없었음.
- 당대의 철학자들과 달리 실험의 가치를 높게 평가했으며, 무지개 이론으로 실험의 중요한 가치를 보여 줌.
- 로저 베이컨은 무지의 원인이 네 가지 있다고 말 함
- 첫째, 부정하고 부적합한 권위의 사례
- 둘째, 관습의 영향
- 셋째, 무식한 군중의 의견
- 넷째, 외견상의 지혜를 과시하며 무지를 은폐하는 것.
- 이 중 넷째가 가장 치명적이고 인간이 저지르는 모든 악의 근원이라 말함
- 베이컨은 아리스토텔레스를 존경함.
- 베이컨은 아베로에스를 추종하여 능동지성이 본질의 측면에서 영혼과 분리되는 실체라 주장.
- 베이컨은 근대에 이르러 지식의 원천으로 실험을 논증보다 훨씬 더 중시했기 때문에 찬사를 받음.
- 베이컨의 관심 영역이나 주제를 다루는 방식은 전형적인 스콜라 철학자들과 아주 달랐음.
- 둔스 스코투스는 프란체스코 수도회와 아퀴나스의 논쟁을 계속 이어감.
- 둔스 스코두스는 온건한 실재론자였음.
- 그는 자유의지가 있다고 믿었으며,존재는 본질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하기도 했음.
- 스코두스는 존재와 본질 사이에 아무 차이도 없기 떄문에 ‘개별화의 원리’ 즉 한 사물을 다른 사물과 동일하지 않게 만드는 원리는 질료가 아니라 형상이어야 한다고 주장.
- 개체들의 속성들 가운데 몇몇은 본질적 속성이고 다른 몇몇은 우연적 속성이다.
- 같은 종에 속한 개체가 둘 있다면 두 개체는 언제나 본질에서 차이가 있는가 아니면 두 개체 안의 본질이 꼭 같을 수 있는가에 대해 성 토마스는 물질적 실체에 대해 후자의 견해를 받아들이고, 정신적 실체에 대해서는 전자의 견해를 받아들인 반면
- 스코투스는 다른 두 개체 사이에는 언제나 본질의 차이가 있게 마련이라고 주장함.
- 성 토마스의 견해는 순수 질료가 공간 속 위치의 차이로만 구별되는 균등한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론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신과 육체로 이루어진 어떤 사람은 육체의 공간적 위치를 통해서만 다른 사람과 물질적으로 다르다고 할 수 있는 반면
- 스코투스는 만약 사물이 구별된다면 성질의 차이로 구별되어야 한다고 주장. 이런 견해는 플라톤에 더 가깝다.
- 개별화의 원리 문제를 현대적으로 진술하면 여러 단계를 밟아야 함
- 라이프니츠가 밟은 첫 단계는 본질적 속성과 우연적 속성의 구분을 제거하는 절차인데, 주의 깊게 진술하려 시도하면 곧 비현실적인 가공의 구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이 드러남.
- 따라서 우리는 ‘본질’ 대신 ‘해당 사물에 대해 참이라고 말할 수 있는 모든 명제’를 사용한다.
- 라이프니츠는 ‘구별불가능자의 동일성’ 원리 떄문에 두 사물이 똑같아지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주장.
- 라이프니츠의 원리는 물질 입자 두 개는 시공간상의 위치에서만 다를 수 있다고 주장하는 물리학자들의 비판을 받았으며, 시공간을 관계로 환원하는 상대성 이론으로 더욱 곤란한 지경에 이르게 된 관점
- 오컴의 윌리엄은 성 토마스 이후 가장 중요한 스콜라 철학자
- 오컴은 정작 그의 저작에서 발견되지 않는 ‘오컴의 면도날’이란 격률로 유명.
- ‘존재들은 필요 없이 늘어나서는 안된다’
- (에너지 최소화의 원리, 엔트로피 법칙과도 연결지을 수 있을 듯)
- (러셀의 평) 나는 오컴의 격률이 논리적 분석에서 풍성한 열매를 맺는 원리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오컴은 형이상학에서는 유명론의 지지자가 아니었으나 논리학에서는 유명론을 지지함.
- 오컴에게 논리학은 자연철학을 위한 도구로서 형이상학에서 독립할 수 있는 학문 분야였음.
- 논리학은 추론적인 과학에 대한 분석인데, 과학은 사물과 관련이 있지만 논리학은 사물과 관련이 없다.
- 사물들은 모두 개체이지만, 명사들 가운데는 보편자도 있다.
- 논리학은 보편자들을 다루지만, 과학은 보편자들에 대해 논하지 않고 보편 개념들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