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목차 |
저희는 팀원 소개, 기획 의도, 기능 소개, 진행 현황, 마무리 순으로 발표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
|
3 |
팀원소개1 |
먼저 팀원 소개 입니다. |
|
4 |
팀원소개2 |
저희 NFT Culture Technology, 줄여서 NCT팀은 총 6명의 팀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박재경 팀장님과 김지영 팀원, 황상윤 팀원이 프론트 엔드를 맡아주고 있고, 양지호 부팀장님과 박성배 팀원이 백 엔드를, 그리고 제가 블록체인 파트를 맡고 있습니다. |
|
5 |
기획의도 |
다음으로 기획의도 입니다. |
|
6 |
기획의도-명세서 |
저희는 기업연계 프로젝트로서 위와 같은 프로젝트 명세서를 받았습니다. 프로젝트 주제는 미술품 공동 소유 리셀러 플랫폼의 구현입니다. 여러분 리셀링과 공동 소유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시나요? 개인적으로 저는 리셀링이라는 단어가 조금 생소해서 처음 저희 프로젝트에 대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는데요, 리셀링은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한 뒤 중고거래를 통해 재판매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보통 중고물품은 새 상품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가 되죠. |
|
7 |
기획의도 |
그러나, 세월이 흘러도 감가가 일어나지 않는 자산, 예를 들어 부동산, 명품, 미술품 들은 오히려 더 비싸게 거래가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러한 자산들에 대한 리셀링 마켓이 매우 확장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방금 말씀드린 부동산, 명품, 미술품과 같은 품목은 저 같은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금액대로 형성되어 있죠. 그렇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
|
8 |
기획의도 |
그래서 공동 소유, 즉 조각투자라는 개념이 등장하였습니다. 조각투자는 다수의 투자자가 소유권을 조각처럼 쪼개 갖는 것입니다. 작은 조각만 구매하는 것인 만큼 소액 투자가 가능해져 진입 장벽이 완화됩니다. 이 두가지 개념이 미술품에 합쳐진, 미술품 공동 소유 리셀러 플랫폼은 |
|
9 |
기획의도 |
현재 아트테크 라는 이름으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구글에 아트테크 라고 검색을 해보시면 위와 같은 기사들을 많이 보실 수 있습니다. |
|
10 |
기획의도- NFT |
저희는 리셀의 단어를 뒤집어 프로젝트에 셀리라는 이름을 붙여주었습니다. 그리고 셀리에서 취급할 미술품을 NFT로 한정지었는데요, 실제 셀리의 서비스가 가능해지려면 리셀링할 물품의 타겟을 배송, 보관등의 문제가 있는 현실의 미술품이 아니라 디지털 자산인 NFT 작품이 더 용이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현존하는 플랫폼들과 셀리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
|
11 |
기획의도-포지셔닝 |
대부분의 아트테크 플랫폼에서는 조각 투자가 가능한 미술품을 플랫폼 측에서 정하여 판매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의 작품을 판매하고 싶은 작가 입장에서는 접근성이 어려워지게 되고, 구매자 입장에서는 투자하고 싶은 미술품 선택에 제한이 생기게 됩니다. 반면 다른 NFT 거래 플랫폼에서는, 누구나 자신의 디지털 작품을 NFT로 민팅하고 판매할 수 있지만, 조각 투자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셀리는 이 두가지 플랫폼들의 장점을 섞고자 합니다. 누구나 본인의 디지털 작품을 NFT로 민팅하여 판매할 수 있고, 이를 분할하여 거래가 가능한 플랫폼으로 만들 것 입니다. |
|
12 |
기능소개 |
그러면 이제 셀리의 주요 기능에 대해서 자세하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
13 |
기능소개-민팅 |
먼저 민팅 기능입니다. 본인의 디지털 작품에 대해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작품명만 입력하면, 누구나 쉽게 자신의 작품을 Selly에 올리고 NFT로 만드실 수 있습니다. 만들어진 NFT는 Selly에서 판매할 수 있으며, 다른 NFT 거래소 플랫폼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
|
14 |
기능소개-NFT탐색 |
다음은 NFT 탐색 기능입니다. NFT 탐색 페이지에서는 다양한 필터와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NFT를 기호에 맞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탐색한 NFT 카드를 클릭하면 |
|
15 |
기능소개- 조각거래 |
NFT 상세 페이지로 들어오게 되는데, 해당 페이지에서는 NFT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른쪽 영역의 탭에서는 유저들 간 분할된 NFT의 소유권 거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아래의 판매 히스토리를 통해 평균 거래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적정 거래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입니다. |
|
16 |
기능소개- 경매 |
마지막으로 경매 기능입니다. 조각을 50% 이상 소유한 유저는 이전의 NFT 디테일 페이지에서 해당 NFT를 경매에 올릴 수 있습니다. 낙찰된 금액은 소유권을 가진 각 유저들에게 지분만큼 돌아가도록 구현하고자 합니다. |
|
17 |
진행현황 |
다음으로 저희의 진행 현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
18 |
진행현황 |
저희는 저번주 초까지 다같이 서비스의 기획과 설계를 진행하였고, 이후로는 블록체인, 프론트 엔드, 백 엔드 세 파트로 나누어져 각각의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
|
19 |
진행현황-msa |
먼저 msa 구조를 결정하였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저희 백엔드의 최우선 목표는 MSA를 통한 서비스 구현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처음으로 msa를 도입해보고자 합니다. 쿠버네티스를 이용해서 MSA 프로젝트를 관리할 예정이고, Spring Cloud를 이용해서 MSA 서비스 구조를 설계하려고 합니다. Spring Cloud를 API Gateway로 활용해서 각 서비스 별로 Netflix Eureka Server에 등록 후 라우팅을 통해 관리할 예정입니다. 아직 msa 구조에 대해 학습 중에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구조는 추후 수정될 수 있습니다. |
|
20 |
진행현황-ERD |
그리고 ERD 설계를 진행하였습니다. 저희는 미술품과 소유권 모두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만큼, 서버 사용을 지양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블록체인의 특징인 탈 중앙화의 의미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저희는 추후에 Selly가 NFT뿐만 아니라 다른 Item 들까지 판매할 수 있도록 만들고자 합니다. 때문에 DB에도 관련 거래 내역을 저장할 수 있도록 ERD를 설계하였습니다. NFT에 얽매이지 않고 다른 Item을 리셀링 하더라도 바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가지고 개발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
|
21 |
진행현황 |
다음으로 와이어 프레임과 기능정의서를 작성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명확히 기술하였습니다. |
|
22 |
진행현황 |
그리고 서비스에 통일감을 주기 위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
|
23 |
진행현황 |
이를 활용하여 사이트의 프로토타입을 제작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오늘 완성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24 |
진행현황 |
설계를 마치고, 백엔드와 블록체인 파트에서는 개발환경을 세팅하였고, 필요한 컨트랙트 중 일부분을 구현하였습니다. |
|
25 |
진행현황 |
백엔드의 개발 현황은 있었는데.. 사라졌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이번 프로젝트에서 저희 백엔드의 최우선 목표는 MSA를 통한 서비스 구현입니다. 하지만 프론트 엔드와의 개발 속도를 맞추기 위해 먼저 모놀리틱 아키텍처로 먼저 서비스를 구현한 뒤, MSA 구조로 리팩토링을 하기로 계획하였습니다. 필요한 일부 기능을 구현하였었으나, 리팩토링을 추후에 하기 보다는 먼저 MSA 구조를 짠 뒤 서비스 구현을 하는 것이 시간을 더 절약할 수 있다는 멘토님의 조언을 받아 기능 구현을 중단하였고, 현재 MSA 구조 확정 과정에 있습니다. |
|
26 |
마무리 |
이제 마지막으로 저희 NCT 팀의 추후 개발 일정에 관해 말씀드리고 발표마치겠습니다. |
|
27 |
마무리- |
|
|
추후일정 |
11월 초까지는 프론트 엔드에서 메인 기능 개발을 할 수 있도록, 기본 컴포넌트를 구현하시는 동안, 블록체인과 백엔드에서 관련 컨트랙트와 API 개발에 힘쓸 예정입니다. 또한 저희가 받은 명세서에는 동시접속자 1만명과 10만 트래픽 처리라는 요구조건이 있었기 때문에, 저희 서비스의 메인 기능 개발이 끝나면, 개발 마지막 주에는 각자 성능 최적화를 위한 리팩토링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
|
사실 저는 두 번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기능 개발에 급급했던 점이 있어서 성능 최적화에 신경을 써본 적이 많이 없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이번 프로젝트에서 마지막 주의 일정이 제일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
|
|
|
28 |
감사합니다 |
이상으로 팀 NCT의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