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산술 연산자

<aside> 💡 수학적 계산을 수행하여 숫자 값을 만들며, 산술 연산이 불가능 할 경우 NaN을 반환한다.

</aside>

단항 연산자를 사용하여 숫자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

var x = '1'; // 문자열
console.log(+x); // 1
x = true; // boolean
console.log(+x); // 1
x = false; // boolean
console.log(+x); // 0
x = 'Hello'; // 문자열
console.log(+x); // NaN

+ 연산자를 사용할 때 하나 이상이 문자열일 경우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동작한다.

'1' + 2; // '12'
1 + '2'; // '12'

1 + 2; // 3
1 + true; // 2
1 + false; // 1
1 + null; // 1
+undefined; // NaN
1 + undefined; // NaN

숫자형 타입외에 타입과 + 연산자를 사용했을 경우 연산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암묵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강제 변환에 의해서 발생한다.

7.2 할당 연산자

할당 연산자는 부수 효과가 있다.

(부수효과 : 원본이 바뀌는 상황)

7.3 비교 연산자

Untitled

<aside> 💡 비교 연산자는 타입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연산자다.

</aside>

NaN === NaN; // false
Number.isNaN(NaN); // true

NaN은 자신과 일치하지 않는 유일한 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