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리스토텔레스는 여러 학문 분야에 영향을 크게 미쳤지만 논리학 분야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논리학 분야의 권위자로 인정 받았으며 중세 내내 그 지위를 유지했다.
- 르네상스 시대 이후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권위를 잃었지만 그의 논리학은 최고 권위를 누렸다.
- 오늘날에도 가톨릭 철학교사들과 그 밖의 많은 사람들은 현대 논리학이 발견한 성과를 완강하게 거부하며 아리스토텔레스의 낡은 논리학 체계에 끈덕지게 집착한다.
- 아리스토텔레스가 논리학에서 이룩한 가장 중요한 업적은 삼단논법이다.
- 삼단논법은 대전제, 소전제, 결론으로 구성된 논증이다.
- 모든 인간은 죽는다 (대전제)
-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 (소전제)
-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결론)
- 삼단논법 체계는 형식 논리학의 시작이었고, 그 자체로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경탄할 만한 업적이었다. 그러나 형식 논리학의 시작이 아니라 목적을 고려한다면 세 가지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 삼단논법 체계 자체 안에 포함된 형식상의 결함
- 연역 논증의 다른 형식들과 대조되는 삼단논법에 대한 과대평가
- 논증 형식으로서 연역법에 대한 과대평가
- 귀납법은 연역법보다 설득력이 약하며, 확실성이 아니라 개연성만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 귀납법은 연역법이 주지 못하는 새로운 지식을 제공해 준다.
- 논리학과 순수 수학의 범위를 넘어선 중요한 추론들은 모두 연역 추론이 아니라 귀납 추론이다.
- 연역은 어디에선가 출발해야 하기 때문에 입증되지 않은, 증명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알게 될 수 밖에 없는 어떤 명제에서 시작해야 한다.
- (러셀의 평)
-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학설들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삼단논법 형식이론을 제외하면 전부 거짓이라고 결론짓는다. 오늘날 논리학을 배우고 싶어하는 이가 아리스토텔레스나 그의 제자들의 저술을 읽게 되면 시간을 허비하는 셈이다.
- (전체 맥락으로 볼 때 러셀은 훨씬 엄밀해진 현대 논리학 관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은 엄밀함이 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영향력이 크다는 점에서 비판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