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구체화
💡 가제 : 첫농 ( 동현님이 부담갖지 않고 지음 )
프로젝트 적합성 (기획)
부정적 측면 😱
- 농사 관련 온라인 플랫폼인데,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거나 어려워하는 고령층이 사용하기엔 조금 어렵지 않을까? (실효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 제기 이지만, 우리는 상용화가 아닌 기능을 갖춘 웹페이지를 만드는게 목표이니 깊게 파고들지는 않아도 될 것 같다)
- 방법 1 ) 초기 전략 : 청년 농가 → 어르신들한테 직접적으로 마케팅 하는 것으로
- 방법 2 ) UI 에서 어른친화적인 UI로 제작 ( 폰트 크기, 디자인 등등 )
- 방법 3 ) 웹 사용 설명서 등을 구체적으로 적어준다
- 차후 있을 사용자 피드백을 받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추천 사이트의 경우에는 제작하여 배포하면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를 사용해 볼 수 있지만, 우리가 만들 중개서비스 플랫폼은 특성상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해보는게 어렵다고 생각된다 (초기 데이터 피드백하기 어렵다 )
- 방법 1 ) 아는 사람들한테 부탁 ( 설문조사 등)
- 방법 2 ) 직접 해서 실험으로 피드백
긍정적 측면 😎
- 농촌 인구는 평균 연령층이 높으므로 앱보다 웹이 더 적합한 서비스라고 유추할 수 있다
- 관련 업계에서 일하면서 얻은 니즈가 반영된 아이디어인 만큼, 제작 동기/근거가 명확하다. 실생활에서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아이디어이고, '영화 추천 사이트' 처럼 흔하지 않아서 포트폴리오를 위해 대충 생각해서 만든 프로젝트라는 인상이 덜 나타나는 것 같다.
- 참고할 사이트(우리는 사업을 하려는게 아니니까 서비스를 참고할 수 있어서 오히려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생각한다)
프로젝트 적합성 (코딩)
What to do:
실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봅니다.
자유로운 주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주세요.
그렇지만 기능 구현 > 프로젝트 기획 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너무 새로운 기능을 만들기보다는
기존에 있는 서비스들의 기본기능들을 충실하게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해주세요.
- 서비스에 필수적으로 들어가야하는 기능 중 (사물인식 / Segmentation / 추천) 추천 모델을 자연스럽게 반영 할
- 중개 플랫폼이라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수집해야 할 데이터가 없고 사용자가 작성할 틀을 완성도있게 잘 제작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아이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