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라는 공간은 항상 선배(상사)들과 후배들의 충돌이 잦은 공간이다.

최근에는 후배를 구분하는 용어를 MZ세대로 지칭하고 있다.

이게 대단히 새로운 종족을 말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시대를 지나면서 용어만 달라질 뿐 선배와 후배(상사와 구성원)일 뿐이다.

후배들을 바라보는 선배의 입장에서는 MZ 세대의 행태에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

반대로 MZ세대는 선배들을 보면서 이해하지 못하는 구석이 꽤 많다.

이런 세대간의 차이(Gap)을 개념 없다고 바라보는 시각이 적지 않지만, 이해가 가지 않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과 몰라서 하지 않는 것도 있다는 것을 발견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을 관찰하고 관리해야 한다.

중견기업 여러 곳은 MZ세대를 개념없는 세대로 바라보면서, MZ세대는 채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기업도 있다. 결코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 기업은 젊은 세대의 구성원들을 위해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겠다는 선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으로는 후배들을 기업의 생존과 성장의 경기장으로 끌어들일 수 없다. 또한, 기업은 성장하기 어렵다. 가능하다해도 2~3년은 모르지만, 시니어 직원들만으로 변하는 경영환경을 버텨내기란 로또 당첨을 기원하는 것과 같다.

결국 선배세대와 후배세대의 ‘Gap’, 이 부분에서 발생하는 생각의 격차, 경험의 격차를 줄이는 것이 기업 성장의 관건이 될 것이다.

[ MZ세대란? ]

1980년대 ~2000년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Z세대'를 아우르는 말이다.

2~30년의 나이 차에도 불구하고 억지성 있게 묶다보니,

1980년대 생들은 자신들이 MZ세대에 포함되어 유통되고 있는지 조차 모른다.

이건 X세대들이 등장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어느날 X세대라는 신조어가 튀어나왔는데, 나중에 보니 자신들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들은 X세대로 분류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