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우리는 스프링 컨테이너의 개념을 배우고, 기존에 작성했던 Controller 코드를 3단 분리해보았습니다. 앞으로 API를 개발할 때는 이 계층에 맞게 각 코드가 작성되어야 합니다! 🙂

과제 #4 에서 만들었던 API를 분리해보며,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계층에 익숙해져 봅시다! 👍

</aside>

Untitled

[문제 1 -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분리]


[문제 2 - Repository 분리, @Primary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