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는 분량은 얼마 안되지만, 오류가 많이 나는 챕터입니다. 시간을 넉넉하게 잡고 실습해주세요. 특히 스크립트 파일 오타 주의하세요!!!

한글 폴더명 변경

<aside> 💡 깃허브의 폴더명이 한글로 되어 있어, ec2 인스턴스에서 클론 받으면 폴더 이름이 깨집니다. 인스턴스의 인코딩을 ko_KR.UTF-8로 변경하여 진행해주세요. 여기서 계속 막힌다면, 아래 자료를 따라 깃허브 폴더 이름을 영문으로 변경해주세요.

</aside>

리눅스에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클론받으면, 사진과 같이 한글로 된 이름 폴더가 깨져서 진행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깃허브를 클론하기 전에 이름 폴더명을 영어로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Untitled

파일 탐색기에서 포크한 레포지토리를 관리하고 있는 폴더를 찾습니다. 한글 이름으로 된 폴더의 이름을 영문으로 변경합니다. (저는 깃헙 아이디로 변경했어요)

Untitled

바뀐 폴더 경로로 프로젝트를 열면 다음과 같이 커밋 영역에 많은 파일들이 삭제되고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파일의 경로를 잘 살펴보면, 삭제된 파일들은 변경 이전 경로의 파일이고, unversioned 파일은 변경 이후 경로의 파일입니다. 파일의 내용은 달라진 것이 없으나, 상위 폴더의 이름이 바뀌었으므로 이전 경로의 파일은 모두 삭제, 새 경로의 파일은 새로 생성된 것으로 취급됩니다. 모두 체크하고 커밋해주세요. 포크한 레포지토리에 영문 이름의 폴더가 반영되어야 합니다.

Untitled

Untitled

다음과 같이 포크한 레포지토리에 영문 이름의 폴더가 반영되면 성공입니다. 이제 교재의 실습 내용을 그대로 따라가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