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와 유닉스의 모든 것은 파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디렉토리도, 파일도, 디바이스도 모두 파일입니다. 장치들은 대개 노드로 취급되지만, 그것도 파일입니다.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는 트리(Tree) 구조를 하고 있으며, 명령어의 성격과 내용 및 사용 권한 등에 따라 디렉토리로 구분되어 있다. 기본적인 구조를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수 있지만, 파일 시스템 표준안(FSSTND, Linux File System Standard)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디렉토리명 | 설명 |
|---|---|
| / | 가장 최상위 디렉토리 |
| /root | 시스템 관리자(root)의 홈 디렉토리 |
| /swap |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메모리의 일부 내용을 디스크로 스왑해주는 파티션 |
| /home | 여러 user들의 home디렉토리 |
| /var | 로그와 데이터베이스,캐싱,스풀 같은 가변파일들이 저장 |
| /srv | 다른 시스템에게 제공되는 파일들(served) |
| /usr | 모든 user가 쓸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디렉토리 |
| /tmp | 임시 파일들을 위한 디렉토리 |
| /var/log | 모든 log의 정보가 담겨있다. |
| /dev | 각 종 device 파일 목록 |
| /proc |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동적인 디렉토리 |
| /mnt | 수동으로 외부 장치들을 마운트(Mount)하기 위한 디렉토리 (무조건 이 디렉토리에 마운트 해야되는 것은 아님) |
| /boot | 부팅 설정 파일, 리눅스의 커널, 그외 부팅 시 필요한 파일들이 담긴 디렉토리 |
| /lib | 시스템의 각종 라이브러리들 |
| /etc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초기 스크립트 파일, 기타 등(etc) |
| /bin | (binary) 기본 명령어들이 모여 있는 디렉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