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print Backlog란 무엇인가?
정의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에서 이번 스프린트에 구현할 항목만 뽑아 구성한 목록.
이번 스프린트 목표(Sprint Goal)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태스크(Task) 목록
.
주요 요소:
Sprint Goal (스프린트 목적)
태스크(Task) 목록
예상 소요(Estimate)
담당자(Assignment)와 책임
생성 시점
Sprint Planning Meeting(스프린트 계획 회의)의 결과물로 도출된다.
2. Sprint Planning Meeting (스프린트 계획 회의)
회의 목적
이번 스프린트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한다.
절차
제품 백로그 검토 (우선순위, 기대 결과 확인)
백로그 항목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스프린트 목적 합의
예:
“소셜 로그인 기능을 추가하고 로그인 오류를 줄여 사용자 경험 개선”
스프린트에 포함할 항목 선택
작업량 예측 (팀의 역량·복잡도 기반)
선택된 항목을 Sprint Backlog로 이동
세부 태스크로 분해 (설계, 구현, 테스트, 통합 등)
태스크 단위 시간 추정 (Story Point, 시간, 상대적 크기)
태스크 간 의존성과 리스크 식별
담당자 할당 및 최종 커밋
3. 태스크(Task) 식별 가이드
Acceptance Criteria(수용 기준)
고려
예시
Story:
“As a user, I want to reset my password so I can regain access if I forget it.”
Acceptance criteria:
Reset link sent by email → Task: “Implement email service integration.”
Token expires after 15 minutes → Task: “Add token validation logic.”
User can set a new password → Task: “Create reset password UI.”
워크플로우 단계
: 분석/설계 → 구현 → 테스트 → 통합 → 문서화
One-Day Rule
: 한 태스크는 1일 이내(4~12시간)에 완료 가능해야 함
Vertical Slice 방식
단순히 UI/DB/백엔드 따로 분리하지 말고,
사용자에게 눈에 보이는 기능 단위로 세로 자르기(예: “비밀번호 재설정” 전체 흐름)
예시: 비밀번호 재설정 스토리
조건:
이메일로 재설정 링크 전송
토큰 15분 만료
새 비밀번호 설정 가능
→ 세부 태스크
이메일 서비스 연동
토큰 검증 로직 추가
새 비밀번호 입력 UI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