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주)인바디입니다.
교수님들께서 저희 인바디를 활용한 연구에 많은 관심과 사랑을 보내주신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약 5,500 건의 논문이 발간되었고 최근에는 한 해에 1,000 건 이상 논문이 발행되고 있습니다. 이에 주요 논문 위주로 연구 동향을 정리하여 매월 정기적으로 발송드리고자 합니다.
연구 관련 문의 사항이나 장비 데모를 원하시는 경우 언제든지 본 메일로 회신 주시거나 여기를 클릭하여 신청해 주시면 확인 후 신속히 연락드리겠습니다.
혈액투석 환자는 치료 과정에서 체수분 불균형에 쉽게 노출되며, 이로 인해 고혈압, 심부전, 폐부종, 등 다양한 심혈관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말기 신부전 환자의 경우, 적절한 체내 수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혈액투석 치료의 핵심 목표 중 하나입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25)
이러한 환자들을 관리하기 위해 적절한 건체중 (Dry Weight)/목표체중 (Target Weight)* 설정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체수분 상태를 객관적, 계량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숙련된 투석전문의는 오목 부종 (Pitting Edema) 여부나 고혈압 경향성 등 임상적 징후를 종합하여 건체중을 평가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고도의 숙련도를 요하고 관련 질환을 동반한 환자의 경우 해석에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체수분 상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초음파를 이용한 하대정맥 직경 측정이나 흉부 X-ray 촬영과 같은 방사선학적 평가 방법이 활용되고 있지만, 반복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는 활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법)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BIA는 간편하고 비침습적이며, 체수분 상태를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어 다양한 만성질환 환자의 체수분 관리에 효과적인 도구이며 현재 임상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김명철 외, 대한내과학회지, 2018)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대표 Case Report 한 편을 소개하고, BWA를 활용한 건체중 평가 지표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aside> 💡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