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의 인스턴스 == 오브젝트
의존관계
- 클래스 사이(코드 레벨)의 의존관계
- 예를 들어 설명
- Client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 Supplier를 필요로 한다면 의존성이 있는 것
- Client가 Supplier를 사용, 호출, 생성, 인스턴스화, 전송하고 있다면 의존하고 있다는 것
- 따라서 Supplier가 변경되면 그걸 의존하고 있는 Client 코드가 영향을 받음
객체지향 및 스프링 관련 핵심 개념
원칙
전략 패턴
제어의 역전
싱글톤 레지스트리
핵심 개념을 토대로 의존관계 개선 (DI의 적용까지)
-
- 최초의 코드
-
- 관심사 분리
-
- 상속을 통한 확장
-
- 클래스의 분리
-
- 인터페이스 도입
-
- 관계설정 책임의 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