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0 연습 세션
- 22시 30분부터 리그 로비 입장 가능합니다.
- 22시 40분부터 연습주행 세션이 시작되며, 30분간 진행됩니다.
- 연습 세션 참가는 자유이므로 불참하셔도 됩니다.
- 중간에 가만히 멈춰 있으면 패널티를 부여받습니다. 절대 서킷 중간에 정지하지 마세요. (이는 퀄리파잉 세션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23:00 퀄리파잉 세션(예선)
- 퀄리파잉 세션동안 기록한 랩타임의 순서대로 본선레이스 그리드 순서가 결정됩니다.
- 퀄리파잉 세션 동안(18분)에는 몇번이건 기록에 도전할 수 있습니다.
- 기록을 내지 않고 서킷을 천천히 도는 랩을 아웃랩(OUT LAP)이라고 하고, 기록을 도전 중인 랩을 플라잉 랩(FLYING LAP)이라고 합니다. 보통 아웃랩은 서킷을 천천히 돌면서 타이어를 아낍니다.
- 피트에서 나간 후 첫 랩은 스타트라인을 통과한 것이 아니므로 OUT LAP이 되며, 스타트라인을 통과하게 되는 두번째 랩이 FLYING LAP이 됩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닌한 세번째 랩은 피트로 들어오는 랩이 되므로 다시 OUT LAP이 됩니다. 경우에 따라 플라잉랩을 2랩 이상 연속 도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아웃랩 중의 플레이어는 플라잉 랩 중인 드라이버에게 레이싱 라인을 양보해줄 의무가 있습니다. 뒤에서 빠른 차가 다가오면 일단 레이싱 라인을 내어주는 것이 매너입니다.
- 피트에서 나가기 전에는 연료량을 체크하세요. 연료의 무게에 따른 기록 차이가 상당히 큽니다. 보통은 3~4바퀴 돌 수 있는 정도의 연료를 채우고 나갑니다. 위에 설명했듯이, 플라잉랩을 한번만 도전하려고 해도 총 3랩을 돌아야 합니다.
- 연료를 다 소모하여도 차가 멈추지는 않습니다. 매우 느린 속도로 주행됩니다. 이 때는 플라잉랩 중인 다른 차들에게 방해가 안되도록 레코드라인을 피해서 갓길 주행을 하시고, 즉시 피트인을 하세요.
- 시간 종료 전에 플라잉랩을 일단 시작했다면, 해당 랩을 마칠 때까지의 기록은 인정됩니다. (종료 1초 전에 스타트라인을 통과하여 플라잉랩을 시작했다면, 퀄리파잉 세션 시간이 종료되었어도 해당 랩까지는 기록이 인정됨)
<aside>
🏁 퀄리파잉에서 피트를 한번 나가면, 이후로는 차량 세팅을 바꿀 수 없습니다. 본선까지 같은 세팅으로 해야 하므로 신중하게 세팅하세요. - 파크 페르메(Parc ferme) 룰 -
</aside>
<aside>
🏁 퀄리파잉에서 가장 좋은 기록을 냈을 때 사용했던 타이어로 본선 레이스를 스타트 합니다. 좋은 기록을 내기 위해 타이어를 소모할수록 본선에서는 불리해집니다. 가장 좋은 것은, 한번에 베스트랩을 찍은 후 타이어를 아끼는 것입니다. (타이어를 갈아끼우고 더 좋은 기록을 낼 경우, 더 좋은 기록을 낸 타이어로 본선을 스타트해야 함)
</aside>
23:20 레이스 세션(본선)
- 퀄리파잉 후 바로 본선경기 시작
- 본선경기는 실제 레이스의 50% 길이로 설정되며, 대략 30바퀴 내외입니다. (서킷마다 다소 차이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