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호스트가 부여할 수 있는 IP 주소와 TCP/IP 프로토콜의 설정들을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부여해주는 프로토콜
- 보통 라우터에서 서버가 돌아감(공유기도 소용량 라우터의 일종이기 때문에 연결된 기기들이 자동으로 IP 주소를 부여받게 됨)
임대

DHCP란?
- IP를 할당해 줄 때 기간을 정해두고 부여하기 때문에 임대라고 부름
갱신
- 임대받은 클라이언트가 계속해서 연결을 필요로 할 때 임대 기간마다 서버에 반환을 하고 다시 임대 받는 것은 굉장히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갱신 요청을 보내서 임대 기간을 갱신할 수 있음
반환
- 임대 기간이 끝났거나 IP 사용이 종료된 경우 반환을 통해 서버가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IP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함
장점
- 각각의 기기마다 수동으로 IP를 부여하게 된다면 부여 가능한, 이미 부여한 IP 목록을 항상 체크 해야함
- 실수로 잘못된 IP를 부여하거나 동일한 IP를 여러 기기에 부여한 경우에 통신이 불가능 할 수 있음
- DHCP 서버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부여 가능한 목록 내에서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를 해주고 임대 기간을 통해 사용되지 않는 IP를 자동으로 회수해주어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함
단점
- DHCP 서버가 다운 되었을 경우 할당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 문제가 생길 수 있음
- 외부에서 접속을 해야하는 경우에 적절한 시기에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반환이 된다면 IP 주소가 변경이 되어 접속이 불가능할 수 있음
IP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