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함수를 조합하고 공유 상태, 변경 가능한 데이터 및 부작용을 피해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프로세스
'선언형' 프로그래밍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는 순수 함수를 통해 전달된다.
애플리케이션의 상태가 일반적으로 공유되고 객체의 메서드와 함께 배치되는 OOP와는 대조되는 프로그래밍 방식
명령형 프로그래밍(절차지향, 객체지향)
상태와 상태를 변경시키는 관점에서 연산을 설명하는 방식 알고리즘을 명시하고, 목표는 명시하지 않음
선언형 프로그래밍
How보다는 What을 설명하는 방식 (어떻게보단 무엇을) 알고리즘을 명시하지 않고 목표만 명시함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어떻게 할지 표현하고, 선언형 프로그래밍은 무엇을 할 건지 표현한다.
함수형 코드는 명령형 프로그래밍이나 OOP 코드보다 더 간결하고 예측가능하여 테스트하는 것이 쉽다.
(하지만 익숙치 않으면 더 복잡해보이고 이해하기 어려움)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래밍 언어나 방식을 배우는 것이 아닌, 함수로 프로그래밍하는 사고를 배우는 것이다.
기존의 사고방식을 전환하여 프로그래밍을 더 유연하게 문제해결 하도록 접근하는 것
순수 함수 (Pure functions)
입출력이 순수해야함 : 반드시 하나 이상의 인자를 받고, 받은 인자를 처리해 반드시 결과물을 돌려줘야 함. 인자 외 다른 변수 사용 금지
합성 함수 (Function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