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Author


이동규 (블록체인 밸리 2기, link), 김희지 (블록체인앳연세 9기, link), 이승아 (하이블록 1기, link), 고준호 (디사이퍼 8기, link), 박근영 (블록체인 밸리 1기, link), 윤태웅 (블록체인앳연세 8기, link) - *Reviewed ***by Block Headers

Content-type


Application/json

Message

TL;DR

<aside> 👉 하나의 자금을 동시에 두 명의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것을 이중지불이라 합니다. 이중지불은 P2P 디지털 화폐 시스템의 치명적인 취약점입니다.

</aside>

<aside> 👉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은 노드들이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거래를 상호 검증하고 승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합의 알고리즘 중 하나이며, 주로 이중지불을 막기 위해 활용됩니다.

</aside>

<aside> 👉 작업증명 방식을 사용 중인 비트코인은 지난 십 수년간 이중 지불이 한 번도 발생하지 않고 수많은 공격에도 무너지지 않는 네트워크라는 사실을 훌륭히 증명하고 있습니다.

</aside>

개요

이중지불

이중 지불은 하나의 자금을 동시에 두 명의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것이며, 이는 수취인이 받은 자금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점에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직접적인 기존의 자금 거래에서는 물리적으로 자금이 이동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중개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중 지불 위험이 없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과 같은 P2P 디지털 화폐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자금이 이동하지 않고, 중개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중 지불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P2P 디지털 화폐 시스템은 반드시 이중지불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규칙이 필요하며, 이 규칙을 합의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단일 채굴자가 네트워크에서 나타나는 거래 검증, 블록 생성 및 보상 수령에 필요한 연산력의 50% 이상을 독점하는 ‘51% 공격’이 발생할 경우, 이론적으로 해당 채굴자는 네트워크 상 모든 거래를 조작해 이중지불을 실현시킬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비트코인과 같이 오랜 기간 유지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소수의 채굴자가 네트워크의 연산력을 독재하기 힘들어, 현재까지 이중지불로 피해를 입은 사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