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 010-9282-4737
메일주소 । whwhwhwl@naver.com
인스타그램 । @hojun_std
$$ \color{#3155FF}\text{실패와 함께 성장하는 엔지니어} $$
연구생। 목포대학교 학부 연구생 팀장
‣ 느낀점 :
처음 학부 연구생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연구 자체보다는 개인용 컴퓨터 지급이라는 현실적인 이유였습니다. 학교에서 보다 편리하게 공부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했지만, 2학년 때는 교수님의 과제 풀이 및 채점 보조를 맡으면서 단순히 시험만 준비하던 제게 전공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3학년이 되어서는 4학년 선배들이 졸업과 취업으로 빠져나가면서 팀장을 맡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학기만 무난히 지나가면 되겠다고 생각했으나, 예상보다 많은 업무와 연구생들과의 협업 과정에서 일정 조율의 어려움을 크게 느꼈습니다. 그 경험을 통해 리더는 단순히 일을 분배하는 사람이 아니라, 동료들을 배려하면서도 필요할 때는 단호하게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임을 깨달았습니다.
이와 함께 교수님의 연구 보조를 맡으면서 다양한 실험 기구와 EDA Tool을 접해볼 수 있었고, 논문 작성법 또한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제 전공 역량을 심화시키고 연구와 실무 모두에 필요한 기초를 다질 수 있는 소중한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저는 남들에게 지식을 알려주고 함께 성장하는 과정을 좋아합니다. 학부 시절 교수님의 추천으로 영재교육원 조교 활동을 하며 저학년 학생들에게 코딩을 가르칠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문법(if, for) 정도는 쉽게 이해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서 많은 학생들이 제 설명을 바로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았고, 제 전달 방식에 문제가 있었는지 스스로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영재교육원 | 목포대학교 영재교육원 조교
‣ 느낀점 :
그 이후 수업이 끝난 뒤에는 어려운 용어 사용을 줄이고, 일상생활 속 사례와 비교하여 설명하는 방법을 고민했습니다. 예를 들어 신호등의 불빛을 예시로 들어 if문을 설명하거나, 반복되는 생활 패턴을 for문에 빗대어 설명하였습니다. 그 결과 학생들이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었고, 단순한 LED 제어부터 시작해 if문을 연속적으로 활용하여 초음파 센서의 거리를 제어하는 실습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저는 지식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의 눈높이에 맞춘 설명과 배려가 중요하다는 것을 깊이 깨닫게 되었으며, 동시에 제 전공지식 또한 더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목포대학교 학생회 । 목포대학교 학과 학생회
‣ 느낀점 :
학부 시절 학과 학생회 활동을 통해 협업과 소통의 중요성을 크게 배웠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행사를 준비하고 운영하는 역할 정도로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학우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교수님과 학생들 사이에서 조율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특히 행사 일정 조율이나 예산 사용과 같은 민감한 부분에서는 학생회 임원들과 많은 논의를 거쳐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단순히 제 의견을 주장하기보다,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조율하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때로는 빠른 결정을 내리기 위한 리더십이 요구되었고, 때로는 전체의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배려와 인내가 필요했습니다.
학생회 경험을 통해 저는 팀워크와 책임감, 그리고 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설계자로서 저의 최종 목표는 단순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것을 넘어, 사람들의 삶에 가치를 더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설계와 솔루션을 제안하는 것입니다. 저는 배움에 있어 집요함이 강해 모르는 점이 생기면 해결될 때까지 파고드는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태도는 반도체 업계에서 큰 강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Verification과 디버깅 과정에서 문제의 원인을 끝까지 추적하고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저는 개인적인 성장에만 머무르지 않고, 팀원들과 지식을 공유하며 함께 성장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혼자만의 성취가 아닌, 서로 배우고 협력하는 과정에서 더 큰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자세를 바탕으로 소통과 협업에 강점을 지닌 엔지니어로서,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차분히 원인을 규명하고 팀과 함께 최적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설계자가 되고자 합니다.
$$ \color{#000000}\text{귀사와 함께하고 싶습니다. 연락을 기다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