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목표 :
<aside>
안다르는 단기 광고 효율 최적화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으로 퍼널 전 단계에서 브랜드 인식과 구매 전환을 동시에 강화해야 한다.
특히 인지 단계에서는 “일상복처럼 입을 수 있는 애슬레저 브랜드”라는 포지셔닝을 명확히 각인시키고, 이후 단계에서는 USP와 소비자 공감 내러티브를 결합한 크리에이티브 기획을 통해 지속적 탐색·재구매로 이어지는 매출 성장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aside>
<aside>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준비할 것에 대해 EDA(탐색적 데이터 분석)를 중심으로
- 어떤 데이터를 사용할지
- 그 데이터를 통해 무엇을 도출할 수 있을지
- 이를 광고 소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 Persona 설정 시 어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할 수 있을지
⇒ 전반적으로 정말 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지?에 초점!
📍 Not To Do (바운더리 설정 → 아이디어 취합 시 좋음)
- 할인 소구 ❌
- 안다르는 일상복 포지셔닝이므로 가격 경쟁력 강조와 맞지 않음
- 포지셔닝 일탈 ❌
- 갑자기 짐웨어 강조 등은 브랜드 방향성에서 벗어남
- 연령대 포지셔닝 제한 ❌
- 특정 연령대에 국한하기보다 broader targeting 유지
📍 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 네이버 키워드 도구
- 왜 사용하는가? → 검색량, 연관 키워드, 트렌드 파악 가능
- 뭘 도출할 수 있는가? → 소비자 관심 주제, USP 연관 키워드, 캠페인 아이디어
- 유튜브 워드클라우드 분석 (인지 단계 활용)
- 주요 인식 키워드:
- 색감
- 부담 없음 (와이드팬츠, 부츠컷 등)
- 핏 (코디, 디자인 등)
- 의미: 실구매자보다는 브랜드에 대한 막연한 인식이 많음 → 현재는 인지 단계 중심
</aside>
재이
진우
수민
민
시현
윤아
- 퍼널을 기준으로 페르소나 설정 → 페르소나에 맞춘 광고 소재 기획
Not To Do
- 원가를 의심하게 하는 정도의 프로모션
- 안다르 포지셔닝 자체가 ‘일상복’에 가까우므로, 짐웨어나 운동을 강조하는 페르소나 또는 광고 소재 기획 지양
- 연령대 포지셔닝 제한
- 특정 연령대에 국한하기보다 broader targeting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