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안녕하세요, 전공자 11조 팀 래기입니다. 저희는 아주대 신입생을 위한 학사도우미 챗봇을 개발했으며, RAG와 LangGraph를 핵심 기술스택으로 활용했습니다. 팀 이름도 RAG에서 따와 ‘래기’라고 지었고요. 오늘 발표에서는 문제 정의부터 기술적 해결 과정, 서비스 확장 방향 순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
2p
저희 발표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말 끝나고 5~7초 정도 보여주기)
⸻
3p
대학교에 처음 들어왔었던 신입생 시절을 기억하시나요?
고등학교와는 전혀 다른 환경 속에서, 우리는 수많은 질문을 마주하게 됩니다.
“졸업 요건은 어떻게 되지?”, “학사 규정은 뭐지?”, “시간표는 어떻게 짜야 하지?”,
“장학금은 어떤 종류가 있지?”, “휴학은 어떻게 신청하지?”, “교내 행사는 언제 열리나?” 등
알고 싶은 것이 끝없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그러나 막상 이 정보를 찾으려 하면 각 학과 홈페이지, 포털사이트, 학사문서 등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 쉽지 않았습니다.
저희는 이러한 어려움을 네 가지 문제로 정리했습니다.
⸻
4p
첫째, 정보 접근성이 저하됩니다.
학사 요람이나 공지사항 같은 주요 정보가 여러 곳에 흩어져 있어, 필요한 순간에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일부 정보는 특정 학생에게는 중요하지만 다른 이들에게는 전혀 쓸모없는 경우가 있어, 불필요한 정보가 뒤섞인 채 제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방대한 자료 속에서 정말 필요한 정보만 걸러내야 하는 부담을 겪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