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코드와 리팩토링은 의미만 보면 비슷하다고 느껴진다. 어떤 차이점이 있을지 생각해보자
클린코드란, 가독성이 높은 코드를 말한다.
가독성을 높이려면 다음과 같이 구현해야 한다.
얼마나 코드가 잘 읽히는 지, 코드가 지저분하지 않고 정리된 코드인지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클린 코드'
public int AAA(int a, int b){
return a+b;
}
public int BBB(int a, int b){
return a-b;
}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public int sum(int a, int b){
return a+b;
}
public int sub(int a, int b){
return a-b;
}
첫째는 함수 네이밍이다. 다른 사람들이 봐도 무슨 역할을 하는 함수인 지 알 수 있는 이름을 사용해야 한다.
둘째는 함수와 함수 사이의 간격이다. 여러 함수가 존재할 때 간격을 나누지 않으면 시작과 끝을 구분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
프로그램의 외부 동작은 그대로 둔 채, 내부의 코드를 정리하면서 개선하는 것을 말함
이미 공사가 끝난 집이지만, 더 튼튼하고 멋진 집을 만들기 위해 내부 구조를 개선하는 리모델링 작업
프로젝트가 끝나면, 지저분한 코드를 볼 때 가독성이 떨어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 부분을 개선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리팩토링 기법'
리팩토링 작업은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향후 이루어질 유지보수에 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