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 백엔드 연동
API 연동
lora 가중치 15000 사용 파라미터 및 프롬프트 기록
prompt=(
"(old Korean folk scroll:1.15), (hanji paper texture:1.1), "
"faces with small round black ink eyes, a tiny triangular ink nose, a short vermilion stroke for the mouth, "
"bold black ink outlines, flat opaque color fills, diluted ink shading only, "
"mineral pigments on paper, muted earthy tones (light ink gray, faded ochre, moss green, pale cinnabar), "
"balanced composition, subject and background in harmony, rustic antique look"
),
negative_prompt=(
"photorealistic, glossy, neon, oversaturated, high contrast, realistic eyes, detailed lips, pores, "
"ukiyo-e, chinese style, western oil painting, pop art, comic, 3D render, CGI, "
"faceless, featureless, blank eyes, melted face, deformed, noisy, harsh gradients"
),
guidance_scale=7.4,
seed=42,
lora_weight=0.78,
low_threshold=60,
high_threshold=140

소프트엣지 , pipe_face 추가버전 스크립트
배경과 인물 각각 phase마다 나눠서 변환 배경(강하게) 인물(약하게)
민화 사진관 사업 lean canvas
Canvas 섹션 |
강화된 주요 내용 |
출처 링크 |
문제 (Problem) |
전 세계 한류 팬덤이 2023년 기준 2억 2,500만 명에 달해 글로벌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한류 감성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AI 기반 전통 미술 변환 툴은 부재. 특히 민화·호작도 같은 전통 모티프는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고 있음에도 디지털 크리에이티브 도구와 연결되지 않음. |
KEIA 보고서 |
고객 세그먼트 (Customer Segments) |
글로벌 한류 팬덤(특히 미국·유럽 성장세)과 K-컬처 크리에이터(유튜버, 틱톡커, 굿즈 제작자), 그리고 문화기관·브랜드가 주요 고객. K-컬처 팬덤은 단순 소비를 넘어 “자신만의 K-컬처 콘텐츠 제작” 니즈로 진화. |
Melbourne Univ., Korea.net |
독자적 가치 제안 (UVP) |
‘정통 한국 민화풍 변환’에 특화된 AI 서비스로, 단순 필터 수준을 넘어 국립기관의 고증된 데이터와 **출처투명성(C2PA)**를 기반으로 차별화. 경쟁 서비스(Lensa, Meitu 등)와 달리 문화적 정합성과 법적 안전성을 동시에 제공. |
C2PA.org |
솔루션 (Solution) |
민화·호작도 LoRA 학습 모델로 사용자의 일상 이미지를 변환. ‘호랑이·까치·소나무·일월오봉도’ 등 대표 모티프와 전통 색채(오방색) 체계를 반영. 또한 국립중앙박물관 등 소장품 저작권 절차 준수로 법적 리스크 최소화. |
Smithsonian, 국립중앙박물관 저작권 정책 |
핵심 지표 (Key Metrics) |
앱 전환율: 미국 앱스토어 평균 25% 내외, AI 앱 유료 전환율 중앙값 약 2.7%. 민화 사진관은 글로벌 K-컬처 팬덤을 타깃으로, 공유·바이럴 지수와 굿즈 연계 매출을 KPI로 설정 가능. |
Sensor Tower |
채널 (Channels) |
① 모바일 앱스토어 (포토/비디오 카테고리 전환율 상위권) |
|
② SNS 확산 (틱톡 해시태그 활용, #민화풍챌린지) |
|
|
③ 문화기관 협업: 국립중앙박물관 굿즈(까치호랑이 배지) 사례에서 보듯, 전통 모티프는 이미 MD 상품으로 흥행 검증. |
중앙일보, 조선일보 영문 |
|
수익원 (Revenue Streams) |
Lensa 벤치마크: 아바타 팩 $3.99~$7.99로 큰 매출 달성. 민화 사진관은 ① 일회성 민화팩 판매, ② 정기 구독(HD/상업옵션), ③ **B2B 라이선스(관광·브랜드 캠페인)**로 다각화 가능. |
GrowthTribe |
비용 구조 (Cost Structure) |
클라우드 GPU 비용, 데이터 저작권 사용료, 신뢰·안전 관리비용(유해 콘텐츠 필터링, 신고채널 운영). 국립기관 소장품 이미지는 반드시 복제/사용 허가가 필요. |
국립중앙박물관 저작권 정책 |
압도적 우위 (Unfair Advantage) |
문화적 정통성 + 법적 안전성 + 투명성이라는 3박자를 동시에 제공. 범용 AI 앱 대비 “한국 전통 문화 특화”라는 독점 포지션. 한국 정부의 AI 이용자 보호 가이드라인과 맞물려 시장 신뢰 확보 가능. |
KCC AI 가이드라인 |
시장 타당성 |
① 한류 팬덤 2.25억 명 (지속 성장) |
|
② K-Pop Demon Hunters 흥행으로 한국 모티프 세계적 인기 급상승 |
|
|
③ 민화·호작도 굿즈 판매 열풍 (까치호랑이 배지 품절 사례) → 민화풍 콘텐츠의 상업적 잠재력 검증 |
The Guardian, Euronews, 중앙일보 |
|
Minhwa Ai Lean Canvas.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