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플릿 활용 가이드]
이 템플릿은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계획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템플릿 내 예시는 단순 참고용이며, 팀의 프로젝트 방향과 내용에 맞게 수정이 필요합니다.
<aside>
1️⃣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 이름: 광주 청년층 이탈 원인 및 취업 소구 사항 분석
- 분석 목적: 광주 청년층의 이탈률과 이탈 원인, 청년 일자리 정책 관련 소구 사항 등을 분석해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함
- 데이터 출처: KOSIS (통계청), MDIS (마이크로데이터 통합 서비스), 광주시의회, 유튜브(댓글 크롤링), GA, 2024년 광주광역시 교육문화위원회 청년정책에 관한 여론조사
- 분석 대상 및 범위: 2019 ~2024 사이 수합 된 청년 관련 데이터(15~39)
- 예상 결과물
- 전체 인구 실업률과 청년 실업률 비교 시각화 line chart
- 광주 청년으로서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 1/2순위 pie chart
- 전국 청년 실업률과 광주 청년 실업률 비교 시각화
- 청년 일자리 고용 필요 정책 Bar chart
- 청년 취업희망 분야 Bar chart
- 청년 취업희망 지역 bar chart
- 청년 일자리 고용 필요 정책 1~3 순위
- 광주 청년 취업 관련 유튜브 댓글 주요 키워드 클라우드
- 미취업기간 주된활동 응답 Bar chart
- (인사이트 요약: 월 평균 요금과 이탈 가능성 간의 상관 관계, 이탈 가능성이 높은 타겟의 특징 도출)
- (타겟 유저 별 메세지/소재 아이디어 도출 → 메세지/소재 설계안 초안 작성)
- (보고서 및 발표 자료: 분석 결과를 요약한 프레젠테이션 자료와 PDF 보고서)
- 기존 광주청년일자리스테이션 GA 자료(활성 사용자 자료)
</aside>
<aside>
2️⃣
데이터 개요
-
광주광역시사회조사 2020~2024
-
데이터 수집 방법: API를 통해 수집, 다운로드, 내부 시스템에서 추출
-
데이터셋의 크기: 8521행 (데이터마다 상이)
-
주요 변수 및 설명: (예: 표 참고)
| 변수명 |
설명 |
데이터 타입 |
| 시군구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 취업희망지역 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취업창업광주지역희망사유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취업창업기타지역희망사유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일자리선택고려사항_1순위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_일자리선택고려사항_2순위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 일자리고용필요정책_1순위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_일자리고용필요정책 2순위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_ 일자리고용필요정책_3순위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코드 모음
-
광주광역시사회조사 2020~2024
-
데이터 수집 방법: API를 통해 수집, 다운로드, 내부 시스템에서 추출
-
데이터셋의 크기: 8521행 (데이터마다 상이)
-
주요 변수 및 설명: (예: 표 참고)
| 변수명 |
설명 |
데이터 타입 |
| 시군구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 취업희망지역 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취업창업광주지역희망사유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취업창업기타지역희망사유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일자리선택고려사항_1순위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_일자리선택고려사항_2순위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 일자리고용필요정책_1순위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_일자리고용필요정책 2순위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청년_ 일자리고용필요정책_3순위코드 |
코드 상세는 하기 토글에 표기 |
code |
-
데이터 전처리 과정
- 결측치 처리 방법:
각 코드별 응답 건에 대해서만 통계화 진행
- 이상치 탐지 및 조치:
청년 데이터인데 생년월일이 1920년으로 표기 되어 있는 등 문제.
2024년 기준 15~39세만 추출한 뒤 나머지 행 삭제
- 코드 명:
현재 각 분류가 숫자로만 표기 되어 있는 상태. 코드 분류표에 따라 숫자를 텍스트로 대치.
</aside>
<aside>
3️⃣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 기술 통계 분석
- 주요 변수의 분포*(예: 월평균 요금의 평균: 50, 표준편차: 10)*
- 평균, 중앙값, 표준편차 등 기초 통계량
- 데이터 시각화
- 전체 인구 실업률과 청년 실업률 비교 시각화 line chart
- 광주 청년으로서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 1/2순위 pie chart
- 전국 청년 실업률과 광주 청년 실업률 비교 시각화
- 청년 일자리 고용 필요 정책 Bar chart
- 청년 취업희망 분야 Bar chart
- 청년 취업희망 지역 bar chart
- 청년 일자리 고용 필요 정책 1~3 순위
- 광주 청년 취업 관련 유튜브 댓글 주요 키워드 클라우드
- 미취업기간 주된활동 응답 Bar chart
- (인사이트 요약: 월 평균 요금과 이탈 가능성 간의 상관 관계, 이탈 가능성이 높은 타겟의 특징 도출)
- (타겟 유저 별 메세지/소재 아이디어 도출 → 메세지/소재 설계안 초안 작성)
- (보고서 및 발표 자료: 분석 결과를 요약한 프레젠테이션 자료와 PDF 보고서)
- 주요 인사이트 도출
</aside>
<aside>
4️⃣
</aside>
<aside>
5️⃣
</aside>
<aside>
6️⃣
</aside>
<aside>
<img src="/icons/first-aid_red.svg" alt="/icons/first-aid_red.svg" width="40px" />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