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리 스터디를 통해 스프링을 활용한 개발에는 익숙해졌지만, 여전히 어떤 어노테이션을 어떤 상황에서 왜 써야 하는지에 대한 원리적 이해가 부족하다고 느꼈다. 마치 바이브 코딩만 느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
최근에는 단순히 기능 구현에 급급하지 않고, 스프링의 작동 원리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필요성을 강하게 느낀다.
그래서 아래 로드맵을 바탕으로, 스프링을 더 깊이 있게 학습하고 실전에서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탄탄한 기초와 구조적 이해를 다져나가고자 한다.
출처 : 김영한의 백엔드 개발 로드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