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요약

[1] 주제 선정

<aside> 💡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는 데이터를 통해 문제를 정의하고, 거기서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해 서비스·ML/DL 모델·솔루션 제안과 같은 실행 가능한 솔루션으로 연결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함. 이에 주제 선정 및 문제 정의가 주요한 부분

</aside>

A. 데이터셋 기반 주제 선정

말 그대로 데이터를 살펴보면서 주제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이는 시간이 여유로우며 데이터셋이 주어졌을때 데이터들을 살펴보면서 주제를 선정하는 것으로 짧은 프로젝트기간이라면 비추천드리는 방식임.

<aside> 💡

“주제: 어떤 소비패턴을 가진 사용자가, 어떤 카드 조합을 사용할때 최대 혜택을 얻을 수 있는가? (2020)”

회사에 근무할 당시 가명/익명 처리된 신용카드 사용 내역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했음. 해당 데이터를 보며 신용 카드 사용자의 대부분이 헤택을 받기 위해 카드를 선택하는데, 사람들은 어떻게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있을까?에 대한 궁금증을 바탕으로 출발함.

그리고 카드 사용자들의 연평균 혜택 데이터를 보니, 혜택을 많이 받는 사용자가 있는 반면, 혜택을 못받고 있는 사용자들이 존재했음. 이를 상위 1%와 하위 60% 두그룹으로 분류했을 때 일반 사용자는 우수 사용자 대비 연 60만원 정도의 혜택을 놓치고 있었음.

스크린샷 2025-07-25 오후 7.35.40.png

이에 왜 이런 결과가 나타날까?

결국, 이 과정은 데이터를 먼저 바라보고 → 질문을 구체화하며 → 패턴을 발견하고 → 실질적 솔루션으로 연결하는 데이터셋 기반 주제 선정 방법의 예시라고 생각합니다.

</aside>

솔루션

  1. 소비 패턴 진단
  2. 개인별 최적화 포트폴리오 추천

B. 리서치 기반 주제 선정

<aside> 💡

“주제: 기후리스크 관리를 위한 대재해채권 상품 설계(2025)”

해당 주제는 기후 변화로 인한 재해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강수량 기반 트리거를 활용한 대재해채권(Catastrophe Bond) 상품을 설계하는 프로젝트. 이에 우리나라에 극한 호우 발생시, 지역에 따라 “지역별 피해액 예측을”하고 채권 상품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함.

냥냥펀치_금융트랙_최종.pdf

</aside>

금융 트랙 → 금융 관련 어떤 주제를 할수 있을까?

금융 분야의 대주제에서 1차 주제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