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문제를 발견하고 정의하였는가?
- 배경 : 코로나로 인해 자금조달이 어려워진 상황, 설상가상으로 신천지 사태로 인해 동문점의 매출이 90% 급감하게 되었다. 스텝을 전부 정리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구조조정 대신에 매출을 만들어내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하였다.
- 문제정의 : 코로나로 인한 매출의 하락
📌어떤 가설을 세웠는가?
- 배경 : 갖고 있는 자원 중 무엇이 가장 추가 매출의 가능성 있으며 또한 임팩트를 만들어 낼 수 있는가를 분석했다. 여행객의 발길이 뚝 끊긴 상황에서 객실판매보다는 F&B판매를 선택했다. 지역민들의 방문을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호스텔 1층에 위치해 기존 Bar로 운영되던 7평의 가게를 리뉴얼하기로 했다. 회전률을 높일 것, 객단가를 높일 것, 지역민들의 방문 증가를 만들어 낼 것. 그리고 이 모든 걸 2주안에 완료하고 1달안에 결과를 만들어 낼 것.
- 가설 : 지역민과 여행자가 동시에 찾을 수 있는 메뉴라면 추가적인 매출을 만들 수 있다.
🔑어떤 결과(물)를 만들어냈는가?

치맥 말고 멜맥, 멜맥집
멜튀김 전문점을 만들었다. 지역민(향수)과 여행자(로컬음식) 모두 좋아할만한 메뉴를 선정하고 단일메뉴 판매, 미슐랭 셰프등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전문점'의 이미지를 만들고자 했다. ' 언제, 어떻게, 누구와 먹으면 되는지 설명하고 설득할 시간이 없으므로 '치맥'처럼 즐기는 대중적인 음식임을 빠르게 인지하게 하고자 '치맥말고멜맥'의 캐치프레이즈를 만들었다. 또한 업장 규모(7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포장/배달 매출을 위한 브랜딩 전략을 세웠다. 사업 계획, 공간리뉴얼, 브랜딩, 메뉴개발, 마케팅방향수립, 원가산출등의 전 과정을 직접 하거나 리드했다.

- 2주안에 리뉴얼 완료, 1개월만에 기대 매출 창출
- 객단가 3배, 회전률 1.5배 증가, 원가율 30% 수준 달성
- 코로나 시기임에도 이전 업장의 전년도 성수기 최고 매출을 넘는 월 매출 달성(일 평균 매출 이전 대비 약 4-5배 상승)
- 업장 매출외, 포장/배달 매출원 추가 확보
- 지역민, 투숙객 외 인근 숙소 투숙객을 고객으로 확보
📒무엇을 배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