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핵심 목표]
비인기 숙소/수익이 잘 나지 않는 숙소의 수익을 올려 전체적인 수익 증대
</aside>
<aside> 📌 가설 설정
</aside>
<aside> ✅
<aside>
가설 설정 이유
1️⃣ 우수 그룹 패턴 분석
인기도 등의 기준 설정 완료
→ 우수 숙소 패턴 분석 가능하다고 판단
→ 두 그룹 간의 비교 필요성을 느낌
2️⃣ 여러 컬럼 분석
컬럼: 가격 & 룸타입 & 지역으로는 조합하여 분석 경험 O
→ 데이터의 구체적 이해를 위해 다른 컬럼에 대한 비교 분석 필요성을 느낌
</aside>
expected_monthly_revenue 활용<aside> ➕
두 집단을 추가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컬럼
operating_months & calculated_host_listings_count 활용
</aside><aside> ✅
<aside> ✅
분석이유 : 수익을 잘 내는 숙소의 유형이 무엇인지 궁금함
"리뷰가 많고 가격이 낮은 숙소가 수익이 높은가?"
vs.
"가격은 높지만 운영이 잘 된 일부 고가 숙소가 더 수익성이 높은가?"
👉 회전률 기반 대중형 숙소
👉 단가 기반 프리미엄 전략
분석의 핵심 개념 : 총 수익 = 1박 가격 × 예약 수 (리뷰 수로 추정)
→ 수익은 price × (number_of_reviews / 리뷰 남기는 비율)
→ 보통 리뷰율은 10%로 가정
estimated_revenue = price * number_of_reviews / 0.1<aside> ✅
<aside> ✅
숙소명에 관광지 키워드가 들어갈수록 예약이 더 많이 될 것 이닭!
<aside> 📌 가설 분석 결과 공유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