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 평가 점수 (10점) | 평가 점수 사유 |
---|---|---|
임예슬 | 10 | 기획 단계에서 대표 게임과 에셋, 필수 기능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둔 덕분에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었고 팀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예상보다 빠르게 완성할 수 있었다. 원하는 기능들이 잘 구현되어 결과물의 완성도도 만족스럽다. |
손채민 | 9.5 | 짧은 시간 내에 상당히 완성도 높은 결과물이 나온 것 같다. 무엇보다 게임의 전반적인 그래픽과 UI 스타일이 꽤 잘 어우러진다. |
김경민 | 10 | 팀장님의 지휘 아래 작업의 진행이 굉장히 체계적으로 진행되어, 프로젝트의 속도가 탄력이 붙어 3주 간의 짧은 시간에 완성도 높은 것 같습니다. |
신희승 | 10 | 짧은 기간이였지만 팀장님이 기획 단계에서부터 1차로 개발해야 할 사항들을 잘 정리를 해주어서 계획했던 대로 진행되어서 좋았습니다. |
이름 | 내용 |
---|---|
임예슬 | 각자 맡은 작업을 빠르게 마무리하고 다음 단계로 이어가는 열정이 인상 깊었다. 매주 진행한 코드 리뷰를 통해 서로의 시선을 이해하며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Git 사용 중 겪은 문제들도 좋은 학습 기회가 되었고 앞으로의 협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
손채민 | 열정 넘치는 팀원들 덕분에 굉장히 빨리 진행되었고, 완성도 높게 구현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기능들이 전반적으로 확장성을 고려하여 만들어 진 점이 좋습니다. |
김경민 | 개인이 맡은 작업에 대해 굉장히 빠르게 진행이 되는 부분이 정말 좋았습니다. 하지만 중간에 Git의 develop 브랜치가 날아갔던 부분이 굉장히 죄송하고 아쉽습니다. |
신희승 | 오전 오후 스크럼을 통해 하루의 진행 사항을 서로 공유하면서 피드백이 자주 이루어져 놓치는 부분이 없나 지속적으로 확인했던 부분이 중간 발표까지의 진행에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로 인해 부족했던 부분은 팀원들이 도움을 주셔서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바로바로 알려주시려고 하는 게 좋았습니다. |
이름 | 내용 |
---|---|
임예슬 | 씬 전환 연출, 콘텐츠 진입 타이밍, 해금 조건 등 초반 30분 동안의 이탈률을 줄이기 위한 UX 설계가 부족하다. 또한 성장 체감을 더욱 뚜렷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밸런스 조정이 필요하다고 느낀다. |
손채민 | ‘재미있는 게임’ 을 만들기 위해 UX 측면에서 보완할 점이 많아 보인다. 전반적인 게임의 연출, 성장 체감이나 레벨 디자인 등 앞으로 많은 테스트 과정을 거치면서 수정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은 것 같다. |
김경민 | 연출적인 부분이나 사운드, UX, 레벨 디자인 등 아직 많은 작업이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
신희승 | 사운드도 좀 더 넣어보면서 게임과 어우러지는지 확인을 해야할것 같습니다. |
ex) 레벨 디자인/타워 레벨 업그레이드 데이터 관리/ScriptableObject 활용/에디터 친화적 및 유지보수 확장성 뛰어나 코드와 데이터 분리로 구조가 깔끔함
이름 | 요구사항 | 선택지 | 선택한 기술 및 구현 방법 | 선택 이유 및 근거 |
---|---|---|---|---|
임예슬 | UI 요소 자동 바인딩 | SerializeField로 직접 연결 / 이름 기반 자동 바인딩 (Bind<T>()) 방식 | 이름(enum) 기반 자동 바인딩 시스템 구축 | 프리팹 변경에도 안전/재사용성, 유지보수 용이/실수를 줄이고 개발 효율을 높임 |
손채민 | 2D 배경 스크롤링 구현 - 깊이감 있는 배경 | 단일 이미지 스크롤링, 패럴랙스 스크롤링, 3D 배경 사용 | 패럴랙스 스크롤링 (Parallax Scrolling) 적용 | 낮은 비용 : 간단한 2D 스프라이트 여러 장으로 효과적인 입체감과 깊이감을 연출할 수 있음 |
김경민 | 광고 시청을 통한 보상 시스템 도입 | Unity Ads / Google AdMob / 타사 SDK | Google AdMob의 RewardedAd API 사용하여 광고 시청 후 콜백 기반 보상 지급 | 광고 수익화가 가능하며, 다양한 광고 네트워크와 안정적으로 연동되기 때문 |
신희승 | 구글 로그인 기능 | FirebaseAuth SDK | Firebase에서 SHA-1 인증서를 통해 구글 로그인 기능 구현 | 서버를 Firebase 로 구축해놓았기 때문에 구글 로그인 기능도 Firebase를 사용하여 로그인 기능 구현 |
이름 | 담당 업무 |
---|---|
임예슬 | UI, 데이터 연동, 오프라인 보상, 사운드 매니저, 가챠 시스템, 스탯 업그레이드, 출석 및 방치 보상 시스템 |
손채민 | 스테이지, 아이템 장착 관리, 인벤토리, 동료, 퀘스트, 튜토리얼, 세이브/로드 시스템 |
김경민 | 플레이어, 애너미 행동 로직, 플레이어 스킬, 던전 기본 로직, 광고 연결 |
신희승 | 장비, Firebase 서버 구축, Railway를 이용한 MySQL DB 구축 및 node.js를 사용한 API 연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