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체크포인트 : 젊은 세대에게 포커싱되어 있는 여행 정보 접근성
독립적인 정보 접근성이 낮음
→ 관광지, 경로, 교통수단 등에 대한 온오프라인 정보 부족하다고 인지
→ 대부분의 시니어, 가족이나 친구에게 의존하여 여행 정보 얻는 경우 다수
<aside>
요약 내용 표
이해관계자 유형 | 예시 | 역할 |
---|---|---|
기술/운영 | 트리플, 지도 API, UI 개발사 | 앱 구현 및 플랫폼 확장 |
콘텐츠 공급 | 지자체, 여행사, 관광공사 | 여행지 정보, 현장 체험 콘텐츠 |
공공·복지 기관 | 보건복지부, 50+재단, 복지관 | 정책 연계, 실증 테스트, 시범운영 협력 |
민간/CSR 파트너 | 통신사, IT 대기업, 스타트업 | 재정적 후원, ESG·사회공헌 목적 연계 |
요약 내용 표
구분 | 핵심 법률 | 실무 조치 |
---|---|---|
개인정보 보호 | 개인정보보호법, 위치정보법 | 동의 UI, 민감정보 보호, 위탁 계약 |
고령자 보호 | 고령사회기본법, 전자상거래법 | 디지털 접근성 확보, 명확한 계약 구조 |
관광·거래 | 관광진흥법, 공정거래법 | 여행업 등록 여부 검토, 표시·광고 투명성 |
공공 연계 | 지자체 조례, ESG 기준 | 협력 조건 명확화, CSR 명분 확보 |
설계 요소 | 참고 앱 | 구현 방향 |
---|---|---|
단순 UI / 큰 터치 요소 | GrandPad, Lively | 버튼 크기 확대, 명확한 네비게이션 |
실시간 복약·건강 알림 | Medisafe, Lively | 여행 중 약 복용 알림 기능 보완 |
커뮤니티 기능 + 자동 알림 | MyWay Village | 여행지 인증, 모임 안내, 동행자 매칭 요소 |
비상 상황 지원 | Lively | 응급 연락, 낙상 감지 알림 탑재 가능 |
<aside>
⚠️ 시니어 세대는 젊은 층에 비해 여행 정보 접근성이 낮고, 개인의 취향을 반영한 맞춤형 여행 설계에 제약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시니어 여행은 단체 중심으로 운영되며, 개별적 욕구와 흥미를 반영한 여행지를 찾기 어렵습니다.
그 결과, 시니어들이 ‘나에게 맞는 여행’을 계획하고 경험하는 데 실질적 한계가 존재합니다.
</aside>
https://www.wiseapp.co.kr/insight/detail/567
https://www.junggi.co.kr/article/articleView.html?no=32529
(5점 만점)
UI/UX 설계 : 단순하고 간단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