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성) 왜 '중저가 패션 플랫폼'으로 방향을 잡았는가?
- 중저가 의류 제품은 구매 결정이 비교적 빠르고, 가격/리뷰/할인에 민감한 소비자가 많음
- 브랜드 신뢰 보다는 정보 기반의 구매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마케팅 요소의 영향을 확인하기 좋음

페르소나 후보군 분석) 총 14개의 조합 (가격대 + 유저 유형 + 유입 경로)
왜 이 14개 후보군(페르소나)을 선택했을까?
- 충분한 유저수 : 유저수가 너무 적으면 의미 있는 판단을 가지기 어렵기 때문
- 이탈률이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음 : 전략 수립에 참고할 수 있는 반응이 분명한 것들
- 리뷰/할인 여부에 따른 차이가 명확함 : 마케팅 요소의 영향을 확인 가능
조합 14개 분석<
1. under_50k + 광고 유입 신규 유저 + 리뷰 미확인 + 할인 미노출
- 이탈률: 90.9%
- 광고만 보고 들어온 저가 제품 신규 유저는, 리뷰와 혜택 정보가 전혀 없을 경우 거의 대부분 이탈한다.
2. under_50k + 광고 유입 신규 유저 + 리뷰 미확인 + 할인 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