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목표 설정 방법


1️⃣ 핵심 질문부터 생각

<aside>

“ e-book 컨텐츠 완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이 있을까? “ ” 이탈하는 유저와 끝까지 보는 읽는 유저와의 차이는 무엇일까? “

</aside>

2️⃣ 분석하고 싶은 고객(페르소나) 설정

<aside>

A 유저는 “이 책 재밌어 보이긴 하는데… 시간 날 때 읽자” 라며 첫 페이지만 읽고 다시 접속하지 않았습니다. → ‘가볍게 훑어보는 유저’로 설정


B 유저는 “웹툰만 주로 보는데, 이번 콘텐츠는 너무 지루해서 접었어요” 라고 의견을 남겼습니다. → ‘빠른 재미와 몰입을 기대하는 유저’로 설정

</aside>

⭐️ 데이터 안에는 다양한 유형의 독서 행동이 존재

→ 여러 고객들을 상상해보고 논의하여 분석 고객을 설정

</aside>

<aside> 📌

핵심 질문


Q. 완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독자의 성향 (선호도)
독자의 현재 상황 & 환경 ( 온라인에서는 플랫폼의 UI.UX(?))
독서 방법의 차이(병렬 독서 VS 직렬 독서)
강제성 Ex. 독서 모임, 챌린지 등
집중력의 차이
디바이스 유형
: 이리더기 사용자는 독서에 투자하는 사람이므로 나머지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과의 이탈률 비교해보면 좋을 듯
구독 정보
: 무료체험 이탈률 높을 것 (비용 X)
먼슬리는 사용해보고 이탈률 결정
장르
: 책의 길이

Q. 이탈하는 유저와 끝까지 보는 유저의 차이는?

이탈자 완독자
책에 대한 관심도
(책 자체나 카테고리) ⬇️ ⬆️
책을 볼 수 있는 시간
(자투리 시간 포함) ⬇️ ⬆️
해당 책에 대한 이해도 ⬇️ ⬆️

→ 오디오북에 대한 홍보, 유튜브 숏츠로 인한 독서 흥미 유발, (요약본)

Q. 처음에(1~50%) / 중간에(50~100%) 이탈하는 요인은?

처음에 이탈 중간에 이탈
책이 읽히지 않아서(재미가 없어서) 병렬 독서하다가 몇 권 까먹어서
관심 없는 내용이라 읽으려다가 점점 지루해져서
책이 생각보다 길어서

Q. 전자책과 종이책을 보는 독자의 이탈율 차이는?

종이책 휴대폰 태블릿 eReader

Q. 몰입을 높이기 위한 요인은?

독서하기 좋은 환경 (대중교통도 생각보다 👍🏻)

Q. 장르에 따른 완독율 혹은 이탈율은?

Q. 플랫폼 서비스 문제로 인한 독서 이탈율 비중은? (자발적과 비교)

서비스 문제로 인한 이탈 자발적 이탈
UI 불편 책이 지루함
기술 이슈 알고리즘 추천 실패
개인적인 급한 일

Q. 자발적으로 독서를 중단하는 이유는? *값이 이미 나와있긴 하지만 추가적으로

</aside>

<aside> 📌 데이터 기반의 페르소나 설정

</aside>

<aside> 👩🏻

분석하고 싶은 고객(페르소나) 설정


이름: 김리디

나이: 2030

성별: 여성

키: 160cm

읽는 기기: eReader 기기 없는 사람

독서량: 달에 1-2권

완독률: 6-70%

직업: 직장인 9-6

직종:

선호하는 장르:

구독 종류: 먼슬리

대중교통 이용

직장: 서울

거주지: 경기도

(자취: 지방이면 자취 아니면 본가 거주)

독서 읽을 때: 모닝 | 자투리 시간 활용 | 퇴근 후

1번 읽을 때 체류시간:

반려동물: 고양이

기상시간: 6시 30분 ~ 7시

</aside>

<aside> 👶🏻

</aside>

<aside> 📌 가설 설정

</aside>

<aside> ❓

</aside>

<aside> ❓

</aside>

<aside> ❓

</aside>

<aside> ❓

</aside>

<aside> ❓

</aside>

<aside> ❓

</aside>

<aside> ❓

</aside>

<aside> ❓

</aside>

<aside> ❓

</aside>

<aside> ❓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