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발 취업 준비생말고도 기업 인사 담당자 입장에서도 활용하게 되면, 담당자 입장에서는 이 포트폴리오가 얼마나 가치있을지, 분석하기 어렵다.
⇒ 인사 담당자가 GitFolio로 만들어진 최종 포트폴리오를 얼마나 가치 있게 볼 지 그것을 과연 퍼센트 수치로 나타낼 수가 있는가??
(2) 프로젝트 볼륨이 다소 크다.
(참고: 피드백 사항 중 챗지피티와의 차별성도 있었음
⇒ 챗지피티와 같은 기존 LLM보다 훨씬 효율적인 이유 : 기존 LLM에서는 커밋 기록이나 수십개의 파일 코드를 일일이 챗지피티에 일일이 복사하여 내용 넣기는 시간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반면 GitFolio 프로그램은 readme.md 파일에 요약이 깔끔하게 정리되지 않았더라도, 커밋 내역으로만으로 짧은 시간에 바로 요약 분석이 가능하다!!) ⇒ 김해찬 조원 조사 부분
해결책)
교수님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범위를 넓히는 대신 활용 범위를 다소 축소하는 접근 방식에도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복잡하고 어려운 주제를 무리하게 확장하기보다는, 핵심 기능에 집중하는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와 관련된 몇 가지 고려사항입니다.
문제점:
GitFolio가 자동으로 생성한 레포지토리 개요 및 기여도 문서
여러 개를 통합하여 최종 포트폴리오까지 만들게 되어 이를 지원자가 그대로 포트폴리오로 제출할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 기업 인사담당자들이 대체로 이 문서를 얼마나 가치 있는지, 지원자의 실제 역량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우려를 가질 수 있음.
GitFolio는 ‘최종 제출용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도구가 아니라, '지원자의 GitHub 경험을 정리하는 중간 결과물'을 생성하는 도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