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입력 |
사용자가 코드·커밋 내용을 직접 복사해 Prompt 작성 |
GitHub API/DB로 자동 수집 (코드, 커밋, PR, 이슈, LOC 등) |
확장성 & 자동화 |
대규모/다중 Repo 시 수작업 부담 매우 큼. 새 커밋 발생 시 매번 재복붙 |
규모 커도 자동화 가능. 여러 Repo 동시 분석, 변경사항이 생길 때마다 새로 업데이트 가능 |
정량화된 지표 활용 |
ChatGPT가 LOC/commit 수/PR 기록 등을 자동 계산해주지는 않음 -> 별도 지시 필요, 누락 위험 |
LOC, 변경 파일 수, merge 횟수 등 각종 지표를 백엔드가 계산하여 즉시 반영 |
결과 형식 & 일관성 |
매번 답변 형식이 달라질 수 있음. Prompt에 따라 편차 큼 |
“프로젝트 개요 / 기여내용 / 개선사항” 등 고정 템플릿 + AI 요약. 안정적으로 재현성 높은 포트폴리오 생성 |
메타데이터 접근성 |
단순 텍스트를 붙여넣는 경우, commit 날짜, PR 링크, issue 연동 관계 등 메타정보 부족 |
GitHub API 호출로 이슈, PR, 리뷰, 브랜치 등 풍부한 정보를 받을 수 있음 |
토큰 한계·비용 |
방대한 코드·커밋 복붙 시 토큰 소모 엄청남. GPT 요금(유료 버전)은 용량에 따라 계속 증가 |
확장프로그램 내부에서 데이터 관리 -> GPT 호출 시 필요한 부분만 요약. 또는 Anthropic 등 API 비용도 분산, 전체 자동화 가능 |
데이터 업데이트 & 유지보수 |
“코드 바뀔 때마다” 계속 복붙해야 함. 과거 Prompt를 재사용하더라도 맥락 없어질 수 있음 |
확장프로그램이 변경사항 추적 -> 데이터 누적으로 포트폴리 자동 업데이트. 잦은 브랜치 작업이나 팀 프로젝트에도 쉽게 대응 |
객관적 증빙 & 신뢰도 |
단순 텍스트 붙여넣으면 실제 commit 내역과의 신뢰성 떨어질 수 있음 |
API로 받아오는 정식 기록 바탕 -> 입증 가능 (면접에서 “코드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누가 언제 커밋했는지” 등 증명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