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피드백 받은 내용 ⇒ 1차 발표 보완사항 - proto type, sample 제시

(0) 주제 자체가 상당히 어려움.

(주제 : 깃허브의 내 코드와 경험을 분석해주고 정리해주는 구글 확장프로그램 ⇒ 최종 )

(1) 정확성 담보가 필요하다.(결론적으론 인사담당자나 채용자가 평가해야됨. 깃폴리오를 사용했을때의 평가를 얻기 힘듦) ⇒ 실질적으로 인사담당자나 채용자에게 평가받기는 쉽지않으므로 취업하신 분이나 경력직 개발자분께 대신 평가받아보기(ex. 지도 교수님?) or 또는 다른 방안 생각해보기?

(2) 깃폴리오를 사용하기보다 단순히 챗지피티를 학습시켜서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것과 비교했을때의 경쟁성 → 챗지피티 학습을 진행시킬때 프로젝트 규모가 크고 팀원이 많을 수록 개인의 커밋한 기록과 기여한 부분을 찾기 힘든데 이를 일일히 찾아서 학습시켜야됨+편의성 부분 = 즉, 챗지피티와의 경쟁성이 아직 부족하다, 이에 대해선 좀 더 개선이 필요할 듯

(3) 개발 취업 준비생말고도 기업 인사 담당자 입장에서도 활용가능성(지원자들의 깃허브아이디를 분석할때 담당자 입장에서는 처음보는 코드와 프로젝트이므로 분석하기 까다롭다 → 이를 대신 분석)

⇒ 기업 인사 담당자 측 활용 가능성에 대한 부분이 어렵다면 개발 취업 준비생 및 개발자 쪽 위주로만 범위를 한정하는 방안?

  1. 2차 발표 내용

I. 설계 - 해결방안 제시

  1. 로그인
  2. 레포 가져오기
  3. 레포 등록
  4. 등록된 레포 가져오기
  5. 레포 개요 생성
  6. 레포 개요 가져오기
  7. 기여도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