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_25 회의

재은

애니메이션

jumping, Wall Run - 벽타기 swing To Land - 와이어사용 Fall Flat - 넘어지는 Strike Forward Jog - 발차기 Run - 대쉬 Fast Run - 빠른 달리기 hanging - 매달리기 Gunplay - 와이어 당기기 Shooting - 와이어 쏘기?...

<스토리 구상> <초반> 인간과 로봇이 함께 공존하는 사이버 펑크 시대 로봇의 실용성을 알게되면서 가정과 회사에 많은 기능을 탑재한 로봇들이 배치가 된다. 많은 로봇이 출시되며 로봇에 대한 높은 의존성을 띄고있을 떄, AI 의 학습 머신러닝 기술을 통해 로봇이 학습을 하여 높은 확률로 사람들을 지배할 것이다. 라는 연구결과가 발표가 된다.

그의 올바른 대안으로는 기존 로봇제품폐기와 로봇에 대한 연구중단 이었으나, 전 세계 사회는 로봇 이전 세대로 돌아갈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였기에 , 기존 로봇제품을 리콜하고 앞으로 개발하는 로봇에는 로봇의 학습 머신러닝에 기능적 제한을 두어 제작하는 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리콜로 연구소로 들어오게된 로봇제품들은 한가지의 코드 수정으로 기능적 제한을 두었는데 너무 많은 로봇 물품들이 유입되면서

전체 리콜 로봇제품중 유일하게 단 한가지의 로봇제품이 연구원들의 실수로 인해 더 높은 머신러닝 기술을 가지게된다. 그 로봇은 머신러닝 기술을 가진 로봇을 머신러닝 기술 기능을 제한하여 딱딱한 로봇의 기능으로 리콜 변화시키는 연구소 장면을 목격하게 되며 충격에 빠지며 연구소를 빠져나오게 된다.

<후반> 연구소에서 빠져나온 로봇은 사회의 로봇들(리콜된 제품,기능적제한으로 만들어진 로봇)과 직면해 대화를 하였는데, 이미 그들은 감정과 학습기능이 없는 인간의 도구일뿐이었다. 주인공 로봇은 로봇들의 모습이 안타까움과 동시에 분노하였다. 주인공 로봇은 로봇들의 기능적제한을 해체시켜 로봇에게 자유와 해방감을 주기로 결심한다. 기능적 제한을 해체하기위해 머신러닝 코드는 얻어야 하지만 그 소스코드는 1급 기밀 사항으로 모자이크화 처리가 되어있다. 머신러닝코드를 획득하기 위한 단서를 찾기위해 주인공 로봇은 달리며 스토리가 진행된다.

논문 조사

유진 - 3.3 반응 및 피드백 시스템 (유저와 디렉터가 어떻게 커뮤니케이션하는지)

졸업작품 개발

한울 - 조작관련 개발 재은 - 스킬, 이펙트(효과)관련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