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적 방법론 > 관찰, 이론, 그리고 또 관찰

e.g. 인플레이션에 대한 이론을 만들어보자

결론/이론 : 인플레이션은 정부가 너무 많은 돈을 발행해서 발생하는것이다

검증 : 여러나라의 물가와 통화량 자료를 수집해서 분석 ( 통화량의 증가, 물가 상승률간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이론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다. )

경제학에서는 실험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

(1) 가정 : 복잡한 세상을 단순화해서 문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줌

⇒ 문제의 핵심을 보다 명확하게 분석할수 있고, 가상세계에서 국가간의 무역을 이해한뒤 이를 활용해서 실제 세상에 국제 무역의 현상을 보다 더 잘 이해가능

e.g. 국제무역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세앙에 두나라와 두 재화만 존재한다고 가정

e.g. 정부가 통화량을 줄이면 어떤 효과? >>>>>> 각각 다른 가정을 적용해야한다

단기적 효과 / 장기적 효과 (각기 다른 가정을 적용해야함)

단기적 효과 ⇒ 가격이 그다지 많이 변하지않는다 / 극단적으로 변한다

장기적 효과 ⇒ 모든 가격이 완전히 자유롭게 움직인다고 가정해야함.

(2) 경제모형 (생물시간 인체모형같은것,비현실적인 단순성떄문에 인체구조이해에 도움을 줌)

경제학에서 현실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형(현실을 단순화) / 대부분 그래프와 방정식으로 구성된다.

경제 순환 모형도 = 시장을 통해 가계와 기업간에 자금이 순환하는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한 경제모형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c951b796-af12-4b17-a86e-cfd52dd4789b/Untitled.png

의사 결정자(2종류 존재) = 기업, 가계

생산요소 = 노동,토지,자본(건물과 생산설비)

생산요소시장 = 기업이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을 가계가 공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