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밋(Commit): 적어두다
버전관리의 커밋: 저장소의 현 상태를 저장하는 행위 파일 집합의 변경 내용을 깃 저장소에 기록하는 작업
커밋 : 저장소의 현재 상태를 저장
저장소 : 연속된 커밋으로 관리, 파일이 달라지지 않았으면 파일을 새로 저장하지 않음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 파일이 원격 저장소 전용 서버에서 관리,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기 위한 저장소
지역 저장소(Local Repository) : 내 PC에 파일이 저장되는 개인 전용 저장소
커밋: 저장소의 현 상태를 저장하는 행위이자 깃 명령어
HEAD: 가장 최근의 커밋을 가르키는 포인터
저장소(git repository): 파일이나 폴더, 버전 관리를 위한 관련 파일을 저장해 두는 곳
PUSH: 지역에서 원격 저장소로 자료를 올림
PULL: 원격 저장소에서 지역 저장소로 자료를 내림
CLONE: 서버의 원격 저장소를 지역 저장소에 복사
버전 관리: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파일 집합에 대한 변경 사항을 추적, 관리
필요성: 과거 지검의 버전으로 돌아가 누가, 무엇을 수정했는지 파악 가능
버전 관리 도구의 인터페이스 방식: CLI와 GUI 존재 CLI: 깃 GUI: 소스 트리
깃GIT 2005년, 리누스 토발즈가 개발 주니어 하마노가 소프트웨어를 유지보수중
깃 정의 : 컴퓨터 파일의 변경을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 기능
깃 사용의 장점 : 소스 코드에 대한 모든 변경 사항을 다른 사용자가 추적 가능
git bash: 명령 행 인터페이스 git gui(graphc user interface)
깃의 구조(4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