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대용량프로젝트에서 청크단위로 분석을 한다고 하는데, 각 pr이나 커밋들에서 중요한 정보를 얻어내는 기준이 뭔가 선정된게 있을까요? -> 중요한것보다는 토큰제한을 넘어설때 잘라서 학습시키고 클로드에 넣ㅇ고학습시키고 최종결과반환예정.
교수님)그런데, 이와비슷한걸 하고있지 않느냐 -> 저희가 찾아봤을땐 이미 존재했으나, 코드를 포트폴리오화하거나 정량화된 자료로 나타내주는건 존재하지 않는다.
깃허브에서 포트폴리오 생성하는거 많이들 있더라고. 대충보니까 자세하겐 한거같지 않은데 비교대상은 될 수 있지 않겠느냐. 서베이도 보완이 되었으면 좋겠어
요새는 더 적극적으로 하더라. 깃허브에 본인이 한거 다 모아놓던데?인사담당자들이 보게끔.
그런거에 비해서 여러분이 어떤 장점? -> 생각해보길 바람.
정확성같은것도 몇%확률로 정확하게했다 제시같은게 만만치않다.
훈련이 잘못된다던가.
여러가지 미스가 생길 수 있는거, 전체적으로 얼마나 신뢰 되는지 제시해야할듯.
뭘 만들었다라고 하는건 처음 하는사람들이 하는거. 보통은 처음이 아니잫ㄴ아. 우리가 만든게 ‘왜 얼만큼 정확하고 좋은지’ 제시할 수 있어야한다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게끔.
특히 상품화 하려면 어렵다.
그런것까지도 생각해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