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개인의 커밋 데이터 지금은 커밋 부분만 나오고 있다 이 부분도 더 발전해서 활
1. GitHub 데이터 분석 고도화
1.1 정적 분석·코드 품질 지표 연동
- *Lint/정적 분석 도구(예: SonarQube, ESLint, Flake8)**를 활용하여, 커밋 단위로 코드 품질(코드 스멜, 복잡도, 커버리지 등)을 측정.
- 포트폴리오 요약에도 “코드 커버리지”, “중복 코드”, “코드 복잡도” 등 정량 지표가 들어가면, 지원자 역량을 더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음.
1.2 이슈·PR·코드리뷰 히스토리 분석
- 단순히 커밋 메트릭만 보는 게 아니라, 이슈(문제 제기) - PR(해결 시도) - 코드리뷰 - 머지 과정 전체를 추적.
- 예: “이슈 생성 → 토론 → 커밋으로 해결 → PR 머지” 흐름을 파악해, 협업 능력, 해결까지 걸린 평균 시간 등을 시각화할 수 있음.
1.3 프로젝트 간 통합 지표 / 팀 기여도 분석
- 여러 저장소(프로젝트)를 갖고 있는 사용자라면, 각 저장소의 기여를 합산하여 “전체 활약도”를 보여주는 기능.
- 팀 단위 분석(예: 리포지토리에 참여한 모든 사람의 커밋 기여도 및 역할 분포)을 제공하면, 협업 프로젝트에서 개인별·팀별 성과를 비교분석 가능.
2. 포트폴리오 생성 기능 확장
2.1 다양한 템플릿 & 사용자화
- 현재는 Markdown/PDF 1~2가지 템플릿이 있다면, 사용자가 UI에서 레이아웃, 섹션 배치, 디자인 등을 커스텀할 수 있도록 지원.
- 예: “개발 스택별 섹션”, “프로젝트 하이라이트” 섹션, “성장과정(Commit Timeline)” 섹션 등 다양한 블록을 끼워 넣어, 포트폴리오 양식을 드래그앤드롭으로 구성.
2.2 번역 / 다국어 지원
- 글로벌 취업·오픈소스 기여자들은 영어 포트폴리오가 필수적.
- AI API를 통해 영어 / 한국어 등 다국어로 자동 번역 버전을 생성.
- 한글로 작성한 후 영어 버전도 함께 PDF로 뽑을 수 있게 하면, 해외 취업에도 활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