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만드는 직업과 IT 서비스를 만드는 직업 짝짓기
[잘모르겠쇼]모른다는 상태가 1차적으로 불안감을 주고 2차적으로는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한국인들은 공부하기를 좋아한다. 프로덕션 디자인 회사에서 일한다. 덕분에 밥그릇을 지키기 위해 보고 듣고 느끼는 게 많다. 공부한다고 없던 재능이 생기진 않겠지만 그래도 비주얼 스토리텔링 영역인 영화는 아는 만큼 보이지 않을까라? 부담 가지면 못 하는 성격이라, 저널이자 오답노트 정도로 시작해본다. 혼자 알기 아까운 꿀이야기도 꺼내놓고 싶다. 전 세계 모든 콘텐츠가 거의 무료에 가까운 시대, 우리는 유튜브와 챗gpt로 무한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클릭 한 번이면 방금 미국에서 찍힌 영화 촬영 현장을 볼 수 있고, 스마트폰만 있으면 고급 금융 서비스의 UX 설계 방식도 금세 배울 수 있다. 접근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지만, 인간의 기억력은 여전히 허술하다. 기록하지 않으면 까먹는다. 그래서 이 글은 기억을 위한 기록이고, 혹시나 비슷한 궁금증을 가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면 더 좋겠다.
이번 주 주제는 "영화 제작에는 어떤 직업들이 있을까?"이다. 영화를 종합예술이라 부르는데, 엔딩 크레딧만 봐도 이유를 알 수 있다. '이 많은 사람들이 다 이 영화에 관여했다고?' 하고 놀랄 정도다. 예전엔 세트장 위치도 안 적히던 시절이 있었지만, 요즘은 제작 현장에 있는 거의 모든 이들의 이름이 올라간다. 노동에 대한 자의식과 존중이 깊어질수록, 크레딧은 길어졌다.
그립팀. 모르는 사람은 알 수 없는 직종이다. 업계 사람들에겐 너무나 당연한 팀이지만, 일을 시작하기 전까진 'Grip'이라는 단어조차 낯설었다. 알고 보니 이 팀 없이는 카메라가 움직이지도, 배우가 편하게 연기하지도 못한다. 현장에서 시선을 조금 아래로 낮추면 안보이던 장비들이 보인다.그래서 전체를 한번 훑어보고 싶었다.
이 글보다 더 깔끔한 정리는 아래 미국의 영상 제작 소프트웨어인 스튜디오바인더가 해주었다.
^클릭시 링크 이동^
똑같이 정리할 순 없으니 다른 걸 해보았다. 현장에도 있고 이런저런 인터뷰도 찾아보니, 잘 만든 영화는 필자가 익숙한 IT 서비스 제작 환경과도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모두가 매일같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과 비교해보면 이번주 공부가 더 잘 기억되지 않을까? 그래서 이번 주는 영화와 금융 서비스를 비교해보았다.
영화 <기생충>, 국민 금융앱 <토스>. 언뜻 보면 서로 다른 분야의 대표작처럼 보이지만, 비슷한 걸 찾자면 또 쉽게 할 수 있다. <기생충>은 아카데미 4관왕, 황금종려상 수상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고, <토스>는 복잡한 금융을 가장 쉽게 만든 앱으로 여러 상도 받았고 수천만 명의 사용자에게 간택 받고 있다.
높은 수준의 상품들은 '어떻게 만들었는가'를 보면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게 있다.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니.
앤디 워홀은 "좋은 비즈니스는 최고의 예술이다"라고 말했다. Fine art를 끝까지 밀어붙이면 commercial art가 되고, commercial art를 밀어붙이면 fine art가 되는 지점이 있다고도 한다. 누군가는 사업도 예술이라고 한다.
<기생충>과 <토스> 모두 기본적으로 기획 → 설계 → 제작 → 검토 → 배포"라는 공정을 가진다. 각 단계에 전문적인 역할이 있으며, 각자가 수행하는 기능이 다르지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완성품을 만든다. 과정에서 드러나는 유사성과 차이점을 직무별로 지극히 간략하고 포괄적이게 정리했다. 마음이 가는 기사 링크와 영상도 첨부했다.
<기생충>의 장영환 프로듀서는 “배우나 스태프 등 여러 파트를 관리하고 조율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며 우선시하는 프로듀서의 자질을 꼽았다. 그러면서 능력 있는 프로듀서라 함은 "예산을 적게 쓰는 게 아니라 가장 효율적으로 쓰는 것”이라 했다.
<토스>사는 PM을 성장의 궤도에 오른 제품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풀어야 할 문제를 정의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며 실행한다고 정의한다 제품의 매출이나 사용자 수를 극대화하는 일뿐 아니라, 업무 프로세스를 체계화하고 고객의 불편을 확인하고 해소하는 일, 또 규제 리스크에 대응하고 파트너사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는 일 (…) 등등. 그렇지. 둘 다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단계를 엄청나게 조율해가고 사람들을 달래가며 해야한다는 거다.
감독은 중대장, 프로듀서는 행정보급관이라는 비유가 재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