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페이지 구조를 위한 기초지식
">
웹페이지 구조를 위한 기초지식
">
<head>
<!-- HTML Meta Tags -->
<meta charset="UTF-8" />
<title> 웹페이지 구조를 위한 기초지식 </title>
<meta
name="description" content=" 웹페이지 구조를 위한 기초지식 " />
<meta name="keywords" content="파비콘, 반응형 웹페이지, 양파고, Yang Phago, 노션, 양파고 노션, notion" />
<!-- Open Graph / Facebook -->
<meta property="og:title" content="웹페이지 구조를 위한 기초지식 "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 파비콘, 반응형 웹페이지, 양파고, Yang Phago, 노션, 양파고 노션 " />
<meta property="og:image" content="대표 이미지" />
<meta property="og:url" content="페이지 주소" />
<meta property="og:type" content="website" />
</head>
<aside>
💡 알면 도움이 되고, 아님 말고?🤖
</aside>
1. 파비콘
1-1. 파비콘이란?
- 브라우저 탭, 즐겨찾기, 모바일 홈화면 등에서 웹사이트를 대표하는 작은 아이콘
- 🟡 기본 규격
| 항목 |
내용 |
| 파일 확장자 |
.ico, .png, .svg, .jpg 등 |
| 권장 크기 |
32x32, 16x16 px (가장 일반적) |
| 파일 이름 |
favicon.ico (가장 표준적인 이름) |
| 최적 포맷 |
.ico 또는 .png |
1-2.✅ 유용한 파비콘 생성 도구
2. 반응형 웹
2-1. 반응형 웹이란?
- 어떤 크기의 디스플레이든(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 웹페이지를 그에 맞춰 보여주는 웹 페이지
- ➡️ 사용자의 화면 크기나 기기에 따라 자동으로 레이아웃과 디자인이 조절되는 웹사이트를 의미
2-2.왜 필요한가?
🟢 왜 필요한가?
| 이유 |
설명 |
| ✅ 다양한 디바이스 대응 |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등 해상도 다양화 대응 |
| ✅ 사용자 경험(UX) 향상 |
화면이 작아도 콘텐츠가 잘 보이면 이탈률 감소 |
| ✅ 유지보수 효율화 |
하나의 페이지로 모든 기기에 대응 가능 |
| ✅ SEO(검색 최적화)에 유리 |
구글은 반응형 웹을 우선시함 |
2-3.🛠️ 주요 기술 요소
| 요소 |
설명 |
| CSS 미디어쿼리 |
화면 너비에 따라 다른 스타일을 적용 (@media) |
| 퍼센트 기반 레이아웃 |
width: 100%, flex, grid 등 유연한 레이아웃 사용 |
| 뷰포트 설정 |
<meta name="viewport" ...> 사용으로 모바일 대응 설정 |
| 이미지 반응형 처리 |
max-width: 100%, object-fit, srcset 등 적용 |
3. 파일 인클루드(file incl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