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데이터를 어떻게 구조화하고, 호율적으로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이번에는 데이터를 묶어서 다룰 수 있는 구조인 배열과 컬렉션에 대해서 알아본다.
특히 컬렉션은 Unity 에서 오프젝트 풀링, 인벤토리, 몬스터 관리, 퀘스트 시스템 등 다양한 개발 상황에서 사용된다.
배열과 컬렉션 각각의 특징을 잘 숙지하여, 실무 개발에서 상황에 맞는 자료구조를 선택하고 응용할 수 있어야 한다.
<aside> 👉🏽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
크기가 고정되고 선언 시 크기 지정이 필수적
다만, 다차원 배열에서 가변적인 배열을 만들 수 있다.
</aside>
// 배열 선언
데이터_유형[] 배열_이름;
int[] arr;
// 배열 초기화
배열_이름 = new 데이터_유형[크기];
arr = new int[5];
// 배열을 한 줄로 선언 및 초기화
데이터_유형[] 배열_이름 = new 데이터_유형[크기];
int [] arr = new int [5];
// 배열 요소에 접근
배열_이름[인덱스] = 값;
값 = 배열_이름[인덱스];
arr[1] = 1;
num1 = arr[1];
int[] scores = new int[5]; // 0으로 초기화된 5칸짜리 배열
string[] names = { "홍길동", "이순신", "유관순" }; // 선언 + 초기화
다차원 배열은 2개 이상의 차원을 가지는 배열로, 보통 행과 열로 구성된 2차원 배열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1차원 배열: 선형 구조
→ int[] arr = new int[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