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인터넷 상에서 컴퓨터 두 개가 있다면 어떻게 통신 할까?
</aside>
각 컴퓨터마다 정해진 주소가 있는데 이 주소를 IP라고 한다. 좀 더 정확하게 말 해보자면 ”네트워크 상에서 기기를 식별하기위한 고유한 숫자” 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되면 나의 IP주소로 누가 요청을 보냈는지 서버에서 알 수가 있다.
종류 | 설명 | 예시 |
---|---|---|
공인IP | 인터넷 상에서 모든 기기와 통신 가능한 주소(외부 공개) | 112.123.45.67 |
사설IP | 내부 네트워크(가정, 회사 등)에서만 사용하는 소 | 192.168.0.1 |
10.0.0.1 등 |
사설IP
는 라우터 내부에서만 쓰인다. 인터넷 전체에서는 식별불가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서
네이버 서버는 내 IP주소가 뭔지 알지 못한다.공인IP
는 외부(인터넷)과 소통용. 라우터가 외부 인터넷과 소통할 때 쓰는 진짜 주소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주소인데, 예를 들어 네이버 서버는 이 주소를 보고
“여기서 요청을보냈구나” 라고 알 수 있다.<aside> 💡
라우터란?
여러 기기를 인터넷에 연결해주는 중간 관리자
도메인과 IP의 관계
naver.com
같은 도메인은 IP 주소에 대한 별명이다.naver.com
→ 223.130.195.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