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느낀점 ]

피어세션에서..

어제 개선 이후에도 다른 분들의 개선 사항을 보면서 한 번 더 개선할 사항들이 보였던 것 같다. 역시 엊그제는 자만하면 안됐다 ㅎㅎ

개발자 원칙을 읽으면서..

아래의 느낀점을 느꼈다. 특히 첫번째와 세번째를 느끼면서 기존에는 실패 경험을 여러가지로 분류하기 보다 그냥 “실패했다” 라고만 봤는데, 책을 읽으면서 좀 복잡한 생각이 들었다.

나는 그저 지금까지 “검증”을 충분히 하지 않아서 실패한건지, 혹은 검증 과정을 거쳤음에도 실패한건지 헷갈렸다. 첫번째라면 검증 과정을 추가하면서 충분한 검증이란 무엇일지, 내 설계가 주어진 요구사항을 지키는지 검증하는 방법은 무엇일지, 좋은 설계란 무엇을지 등을 고민해보아야 할 것 같다. 두번째라면 검증을 충분히 했다는 생각이 들었으나 내가 끝에 와서 발견하게 된 것이고 “과정에서 학습한게 있었을테니까 시도한 것은 잘 한것이다.” 라고 생각해야할지.. 머리가 복잡하다.

생각 정리를 거치다보니 종합적으로 설계가 실패할 것 같아도 시도하고, 이걸 검증해가면서 나아지는것 같다..! 그럼 결론은 난 시도는 했지만 검증이 아쉬웠던게 맞는 것 같다.. ㅎㅎ 나아가기 위해 악셀은 시도하기고 검증이 브레이크였구나.. 다음주는 더 잘해봐야겠다.

Ch 7. 프로덕트 중심주의

<aside> 1️⃣ - 반복적으로 완성하기 -

빠르게 완성하고 싶은 욕심에 반복과 피드백 과정을 거치지 않고 많은 양의 코드를 작성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직관과는 달리 이터레이션 기반의 점진적이고 반복적인 개발이 최선의 길입니다.

- ”개발자 원칙”, p.194.

</aside>

<aside> 2️⃣ - 디테일까지 도달하기 -

그런데 많은 프로젝트 현장에서 이터레이션을 단순히 기능만 나열하고, 기능 구현을 완료하면 끝맺는 식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면 더 이상 발전하지 않고 멈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발자 원칙”, p.195

</aside>

<aside> 3️⃣ - 망설일 바에는 실패하자 -

보잘것없거나, 심지어 본인이 보기에 완전한 실패라 해도 시도를 망설일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더 나은 프로덕트를 목표로 삼고 무언가를 계속 반복적으로 시도하면 점점 프로덕트를 잘 이해하게 됩니다. 프로젝트 실패 경험은 오히려 큰 성장을 이루게 하며, 앞으로 더 잘할 수 있는 역량을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개발자 원칙”, p.200

</aside>

  1. 지금까지 나의 목표는 무엇일까. 챌린지 과정이 아니라 딱 미션만 본다면, 빠르게 그리고 해결 그리고 학습 3가지가 목표였나 싶다. 여기서 “빠르게”가 들어가면서 내가 매번 놓쳤던 검증 단계가 많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1. ex) 택배 시뮬레이터 미션에서… (동기/비동기)
  2. 지금까지 대부분 처음 설계를 할 때에는 디테일까지 가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오히려 디테일을 따지지 않았던 것 같다. 그래서 이번주 Day 13 미션에서 각 메소드를 모두 구현했다는 사실에 쉽게 자만했고, 뒤늦은 개선 사항을 피어세션에서 많이 알게 된게 아닐까 싶다. 많이 반성하고 있다.. ㅎㅎ
    1. ex) git 미션에서…
  3. 지금까지 끝나고 나서 설계를 엎었던건 1번의 경우가 아니라면 3번의 경우 같기도 하다. 처음에 설계에서 완벽하다고 느껴서 용기있게 진행한 구현을 나중 검증 단계에서 보자니 오류가 있던 것이었다. 그때 당시에는 검증이 부족했다고 아쉽다고 좌절만 했지만, 이로써 또 배웠다는 것을 생각할 필요도 있는 것 같다.
    1. ex) 함수형 프로그래밍 미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