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밋 유형 | 의미 |
---|---|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
fix |
버그 수정 |
remove |
파일, 코드 삭제 또는 기능 삭제 |
chore |
빌드 관련 수정 (application.yml, build.gradle, .gitignore ..) |
test |
테스트 관련 코드 |
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
docs |
문서 수정 |
style |
스타일 수정 (코드 formatting, 세미콜론 누락, 코드 자체의 변경이 없는 경우) |
setting |
환경 설정 |
ci |
npm 모듈 설치 |
커밋 메세지 + 이슈번호
🎉 init: 초기 설정 🎨 feat: 기능 추가, 변경 🔥 remove : 파일이나 코드 삭제 🐛 fix: 버그, 오류 수정 📝 docs: readme.md, json 파일 등 수정, 라이브러리 설치 (문서 관련, 코드 수정 없음) 💄 style: CSS 등 사용자 UI 디자인 변경 (제품 코드 수정 발생, 코드 형식, 정렬, 주석 등의 변경) ♻️ refactor: 코드 리팩토링 🧪 test: 테스트 코드 추가, 삭제, 변경 등 (코드 수정 없음, 테스트 코드에 관련된 모든 변경에 해당) 🐎 ci: npm 모듈 설치 등 🐳 chore: 패키지 매니저 설정할 경우, etc 등
ex ) 어떤 파일을 삭제했을 때
🔥 remove : 로그인페이지 파일 삭제
feature/기능/ 해당 개발자 이름
ex ) 사자가 로그인페이지를 만드는 브랜치 : feature/Login/l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