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겟은 최대한 넓게 설정하여 시작 → 수면
기록은 결을 나누기 위한 베이스이다. ⇒ 결을 먼저 나눈 후에 그 결마다 맞는 결론 도출(어떤데 이런 음악이 필요해 or 여기는 카테고리로 묶자)
기록을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고민
기록을 입력 받을 때는 실질적으로 받는게 좋다.
ex)
api 사용시 무료/유료 과금 부분에 관하여 확인 필요 ⇒ 50만원 2일만에 다 쓰는 상황 발생하는 상황 생길 수 있음
컨텐츠 활용 방안
ex)
개발자는 기술적 문제에 있어 클라이언트의 환경을 먼저 생각해야하고 시작해야함 ex ) 프론트 : 아예 리액트 네이티브로 하는것도 하나의 방법 ⇒ 태그들이 달라짐, expo 엑스포를 찾아볼것, 쿠키,세션등이 달라짐 → 앱 저장소, 네비게이션 달라짐(history 리액트라우터 돔에서 리액트 네이티브 라우터 돔으로, 디바이스, 배포방법이 달라짐 → expo 안드로이드, iOS 따로 or 다같이 build) Pwa 위에 시간,바데리 보이게하는건 < 스펙체크할것 Pwa 지원안하는 브라우져 체크할것
MVP 레벨로 낮춰 생각할 것 ⇒ MVP만 개발한다 생각하지 말고 나머지는 백로그로 미뤄둠
주제: asmr 음원, 수면 ⇒ 사람들에게 자기 전에 듣기 좋은 asmr을 추천한다.
시작하기 전 해야할 고민
음원 제공방식
100% 서비스로 제공
유저 등록
⇒ 유저가 등록할 수 있다면 다른 사람에게도 보여줘야함
서비스 제공 4 : 유저등록 2 표로 결론이 안 났으므로 뒤에 다시 결정
기록 | 추천 |
---|---|
음원 시작 시간, 종료시간 2 | 조회수 기반 |
음원 조회수 | 특정 기상 시간 |
음원에 대한 만족도 | 전체 재생 기준 |
해당 날짜에 스트리밍한 음원 | 날씨/계절별 |
수면의 질 2 | 명언(기타) |
음원 플레이리스트(2명) | 수면질 가장 좋았던 음원과 시간이 비슷한 다른 음원 |